- 영문명
- Variability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t Taeanhaean National Park Adjoining the Hebei Spirit Oil Spill Site During 2016-2018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성경아(Kyeong Ah Seong) 유영두(Yeong Du Yoo) 이창원(Changwon Lee) 정병관(Byungkwan Jeong) 정주영(Juyoung Jeong) 김형섭(Hyung Seop Kim) 조수근(Soo-Gun Jo) 이원호(Wonho Yih)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0권 제3호, 303~30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해역에 인접한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역에서 2016-2018 사이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군집분포를 분석하였다. 현존량은 2016년과 2017년에는 하계에 가장 높은 반면 2018년에는 춘계에 최고 값을 보였다. 분류군 기준으로는 규조류와 와편모류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기록하였다. 종별로는 규조류인 Paralia sulcata와 Skeletonema costatum 등 두 종과 유갑와편모류에 속하는 Tripos fusus가 높은 현존량으로 크게 우점하였다.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은 유류사고가 난 이후 2008년 부터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던 높은 영양염에 반응하는 종이다. 그런데 2016년부터 Paralia sulcata가 최우점종으로 출현하는 종의 천이 경향을 보였다. 이 기간 중 Paralia sulcata는 수온과 인산염에 반비례하는 특징을 보였다. 2018년 하계에는 와편모류 Tripos fusus가 전체 현존량의 50%이상을 차지하여, 2011-2012년과 2015년에 이어 제 3차의 하계 고도 우점 현상을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규조류 우점종의 장기적인 천이 과정과 하계 와편모류 최우점 현상의 주기적인 반복 등의 연구 결과는 연구대상 해역에서 플랑크톤 군집이 유류오염에 의한 환경충격 후의 회복 과정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hytoplankton abundance and community distribution were analyzed at Taeanhaean National Park adjoining the Hebei Spirit Oil Spill (HSOS) site. Phytoplankton abundance was highest in summers of 2016 and 2017 while highest in spring of 2018. Diatoms we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the secondly dominant dinoflagellates. Two diatom species, Paralia sulcata and Skeletonema costatum, were the top dominants in many samples. The thecate dinoflagellate Tripos fusus was the first dominant in summer of 2018. The planktonic diatom S. costatum, one of the opportunist under high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was the first dominant species in the years of 2008-2015. The first dominant species was succeeded to the tychopelagic diatom P. sulcata from 2016 to 2018. Abundance of P. sulcata was higher when seawater temperature and [PO4-P] were lower. By occupying over 50% of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in 2018, T. fusus recorded three times of exceptional dominance in summer along with the previous cases in 2011-2012 and 2015. Succession of the dominant diatom species from S. costatum to P. sulcata as well as the repeated summer dominance by T. fusus may be reflecting the 10 year-long on-going recovering process of the plankton communities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which was triggered by the HSOS accident.
목차
서론
연구 내용 및 방법
결과 및 토의
사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ebei Spirit oil spill 이후 태안 해역 조하대 대형저서동물 종 다양성의 장기변동
- 유류오염유출사고로 인한 태안해안국립공원 탐방객 및 일반국민의 인식변화(2008년~2018년)
- 유류유출 사고지점에 인접한 태안해안국립공원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2016-2018 기간 중 변동성
- HS호 기름유출사고 이후 태안해안국립공원 모항 조수웅덩이의 어류 군집 변동
- Seaweed Community Dynamics for First One Year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in Taean, Korea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이후 태안해안국립공원 경성기질 저서무척추동물상
- Long-term Variation of a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Populati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이후 태안해안국립공원 새우말 개체군 변동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후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조간대 연성기질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변화
- HS호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장기변동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 유출 사고 이후 태안 연안에서의 정기성 플랑크톤 군집의 장기 변동
- 허베이 스피리트 유류사고 이후 태안 조간대 해역 저서 규조류의 군집 변동
-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태안해역 퇴적환경 및 중금속 분포 특성
- HS호 유류오염사고 10년, 태안해안국립공원 복원을 위한 국비 예산 투입 현황 분석 및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 지리산국립공원 산림 탄소 흡수량 및 식생가치 기반 보호관리 우선순위 평가 연구
- 호소 환경에서 새롭게 관찰된 미세조류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 글로벌 보전 목표 성취를 위한 OECM 현황 및 특성 연구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NEW
- GFPT1 regulates AMPK activity through enhanced O-GlcNAcylation
-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CALA-like lipase 7 from Cordyceps militaris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