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총설]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이용수 22
- 영문명
- Study on the National Park-centric National Ecological Network for the Enhancement of Biodiversity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신용석(Yong Seok Shin)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4권 제1호, 61~7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esignating as many Protected Areas and networking them is essential for the enhancement of national biodiversity. In Korea, 20 National Parks occupy most large Proteced Area in total and have most abundant biodiversity. So, It needs to build National Ecological Network which focusing on National Parks. This study propose 5 ecological axis and 6 eco-region as a alternative of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The Ecological Network is composed of Core Area, Buffer Zone and Corridor. In this study I suggest 50 km2 for the proper area criteria as a mountainous Core Area, and 1 km2 in inland wetland, and 10 km2 in coastal wetland. And also suggest 40~60 km as a proper distance between Core Area in good-managed area, and 20~30 km in more small or fragmented area. The proper outline-distance of Buffer Zone from the outline of Core Area is suggested as 2 km in mountainous area, and 1km in wetland area. The proper width of Corridor is suggested as 2~4 km in mountainous area, and 0.5~1 km at the river or stream. Based on the such criteria, I propose 38 Core area and 60 sub-Core Area in the 6 eco-regions of Korea. Among the 38 Core Area, 19 area is existing National Park and the other areas are needed new designation as the National Park.
목차
서론
연구범위 및 방법
생물다양성과 생태네트워크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결론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총설]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에서 제비의 도래현황 분석
- 변산반도국립공원 고사포·하섬 연안습지의 탐방객이 조류에 미치는 영향
- 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지구, 거제·해금강지구 어류 종조성 계절변화
- 생물종 분포모델에 미치는 기후·지형인자의 영향 분석
- 계룡산국립공원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 오대산국립공원 8개 조사격자의 관속식물
- 속리산 국립공원의 담수어류상
- 국립공원 환경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자연환경안내원 인식 분석
-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조간대 해산식물상
- GIS를 활용한 국립공원의 종 다양성에 관한 생물기후학적 영향 분석
- 국립공원 내 철새중간기착지에서 철새 도래현황 비교
- 태안해변길 외래식물 분포 특성
- 금강 지류에서 현장 부유입자의 분포와 변화
- 태안해안국립공원 바람아래 특별보호구역의 지형 및 염생식물 분포특성 연구
-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의 식물분포 및 토양환경
-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임도 식물상과 귀화식물 현황
- [총설]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의 근·현대 역사와 훼손지 복구사업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