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시설 취약계층을 위한 인명구조 스마트기술 적용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81
- 영문명
- Necessity of Applying Lifesaving Smart Technology for Vulnerable Class in Nursing Facilities: Focus on Introduction of RFID-based Positioning System and 3D Scanning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권혁(Hyeok Kwon) 윤철진(Chul Jin Youn) 김희동(Hee D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5 No.2, 143~15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화재 시 다수의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요양시설에 대해 초기 효과적 인명구조를 위한 스마트 기술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다수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초기 인명구조를 위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정보 획득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초기 정보 획득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한 기술로 본 연구는 3D 스캐닝과 RFID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현장 대응 역량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의 최종 목표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D 스캐닝 기술과 위치 확인 태그 시스템 기술은 이를 달성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3D 스캐닝 기술과 위치 확인 시스템 기술은 요양시설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수용자가 있는 병원, 어린이 수용시설 등 화재위험성이 큰 대상으로 확대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추후 추가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mart technology for early effective lifesaving in nursing facilities during fire outbreaks.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for some expert groups, 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active information acquisition is necessary for initial lifesaving. In particular, initial information acquisition is vital. A 3D scanning an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positioning system was us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ltimate goal of technology development to improve field response capabilities is to minimize human damage, and the 3D scanning technology and location tag system technology applied in this study helped achieve the goal. In addition, 3D scanning and positioning system techniques are not limited to nursing facilities but may be extended and applied to targets with high fire risk, such as hospitals and children accommodation facilities with many prison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연구 결과
5. 인명구조를 위한 3D 스캐닝 기술
6. 인명구조를 위한 RFID 위치정보 태그 시스템
7.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화재⋅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한 MLCC 사업장 클린룸의 위험성 평가
- 성인학습자기반의 상호작용과 학습효과성의 관계에서 블랜디드러닝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 여성 소방공무원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 구획공간 화재시뮬레이션에 대한 FDS 모델의 병렬계산 효율
- 중⋅저층 건축물 소방시설 설계⋅준공도서 비교를 통한 공사비 및 설비별 설치비율 분석에 관한 연구
- 비화재보에 대한 소방관련종사자의 설문조사 연구
- 소방펌프차의 수명 예측을 위한 통계적 방법 연구
- 들깻묵의 자연발화 및 활성화 에너지를 통한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요양시설 취약계층을 위한 인명구조 스마트기술 적용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전기화재예방시스템(ETEC-DPS)의 개발 및 안전성 평가
- HSV 컬러 모델 및 코너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화염 감지에 관한 연구
- 효과적인 피난을 위한 보행거리 및 출구 폭에 대한 연구
- 다수사상자 발생 재난 현장에서 선착구급대의 임시현장응급의료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소방대원의 화학테러 대응 인식 및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 연결송수관설비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플라스틱류의 화재 위험성 등급 평가
- 산소소모 열량 측정법 기반의 열발생률을 측정하기 위한 헬스 케어용 산소센서의 적용
- 화학사고⋅테러 관련 대응장비 인식 및 현황 조사에 관한 연구
- 스프링클러 설비의 동배관 부식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