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료기관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for Promoting Overseas Expansion of Medical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government s overseas expansion policy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임태성(Tae-Seong Lim)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3권 제1호, 271~2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몇 년간 의료 해외 수출 산업은 잠재력과 가능성이 높은 신성장 동력 분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의료기관의 해외 진출 사업이 구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그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5년 의료해외진출법이 제정되며 법과 제도의 측면에서 의료 해외 진출을 뒷받침할 수 있게 되었고, 의료해외진출법의 시행으로 의료 해외 진출은 정부의 지원을 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구체화 단계에 있는 의료기관의 해외 수출의 현황과 성과, 한계를 파악하고 정부의 지원 정책을 검토하고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의료 기관 해외 진출 시 고려할 사항과 지원 정책을 고찰함으로써, 의료 해외 수출 시 주요 과제 설정과 논의사항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medical overseas export industry has begun to be recognized as a new growth engine with high potential and possibility. Accordingly, the overseas expansion of medical institutions has begun to materialize, and the number of cases continues to increase. In 2015, the Medical Overseas Expansion Act was enacted to support medical overseas expansion in terms of laws and system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edical Overseas Expansion Act provided a basis for leg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overseas exports of medical institutions in the materialization phase, and to review and discuss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by reviewing the considerations and support policies of medical institutions overseas expansion, it provided basic information for setting and discussing major tasks for overseas medical export.
목차
Ⅰ. 서론
Ⅱ. 의료기관 해외 진출 현황
Ⅲ. 의료기관 해외 진출 지원사업
Ⅳ. 의료기관 해외 진출 성과 및 한계
Ⅴ. 고찰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술학습 및 실행역량에 부서협력이 미치는 영향
- 중국 환경상품의 무역구조와 수출경쟁력에 관한 연구 - APEC 리스트를 중심으로
- 적법한 스위치선하증권의 기준 및 발행 시 주의사항에 관한 연구
- 원산지 국가이미지가 와인 이미지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WTO/SPS협정 제5.6조가 무역자유화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신 재생에너지 플랜트 사업의 해외진출 리스크 영향도 분석
- 아시아 지역의 녹색금융 확산과 녹색투자에 관한 연구
- 개발도상국들의 반덤핑 조치에 미치는 정치 경제 요인 분석
-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따른 법적쟁점과 자율주행상의 사고 책임
- 개인의 동적능력, 기업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지향성의 매개효과와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
- 의료기관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연구
- 전라남도 강소기업 수출지원과 수출증대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국경 간 전자상거래 물류서비스가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 및 특성을 활용하여
- Is FDI in the United Kingdom Still a Viable Option after Brexit?
- 세계화, 성장, 불평등과 빈곤에 대한 고찰
- 뉴스기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무역이슈 변화분석
- 수출 기업의 혁신 전략에 따른 연구개발 인력 변화 분석
- 국제 택배서비스 품질의 고객가치가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한국의 FTA상 전자상거래 무역규범 유형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rticle XX(a) of the GATT: Focusing on United States – Tariff Measures on Certain Goods from China
- 부정적·긍정적 브랜드 인게이지먼트가 온라인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ing Factors of Cross Border E-commerce in Korea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인식이 인스타그램 팔로워 반응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Export Diversification: Analyzing Export Product and Partner Variety Extensive Margins
- 수출입기업의 환위험 관리를 위한 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