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voters attitudes toward the enactment of the Anti-Terror Law : partisan polarization, attitude toward issue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강신재(Sin-jae Kang)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논집』제49권 제1호, 265~2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대 국회 말미에 크게 이슈가 되었던 테러방지법 제정에 대한 유권자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테러방지법은 여야 간의 극심한 갈등 끝에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을 통한 여당 의원들의 단독 표결로 본회의에서 통과되었다. 유권자들의 특정 이슈에 대한 태도 혹은 투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주로 정당, 후보자, 이슈, 매스미디어, 인구통계학적 요인들로 밝혀지고 있는데, 주요 쟁점 법안에 대한 유권자들의 태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당파적 양극화가 크게 나타난 테러방지법이 통과된 상황 속에서 유권자들의 법안 제정에 대한 태도에 엘리트들처럼 당파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지, 다른 요인들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은 법안에 대한 국회의원들과 유권자들의 태도에서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분석 결과, <모형 3>에서는 유권자들의 당파성과 이념성향이 테러방지법 제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독립변수인 테러방지법과 관련된 이슈들에 대한 태도 변수를 포함시킨 <모형 4>에서는 이념 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졌고 정당지지 변수의 통계적 유의성과 영향력 또한 앞선 모형과 비교했을 때 감소하거나 사라졌다. 이와 함께 테러방지법과 관련된 이슈들인 국가보안법 폐지, 도·감청 불가피, 경제발전 대 민주주의 이슈에 대한 태도가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유권자들이 법안에 대한 찬반 결정에서 단순히 당파성과 이념뿐만 아니라 법안과 관련된 세부 이슈들에 대한 태도를 고려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attitude of voters toward the anti-terrorism bill that became a major issue at the end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anti-terrorism bill was introduced to a plenary session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speaker s authority of ex officio proposal after a severe conflicts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and was passed through votes by only the ruling party. The factors influencing voters attitudes and voting behavior are mostly identified as party identification, candidate, issue, mass media and demographic factors. Discovering the factors affecting voters attitudes toward conflictual bills has been limited. Analyzing the attitudes of voters to the legislation in the context of the passage of anti-terrorism legislation, which has been largely driven by partisan polariz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show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ppear in the attitudes of legislators and voters to the legis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partisanship and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vot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nactment of the anti-terrorism law. In , which included attitude variables for issues related to the Anti-Terrorism Act,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deological variables disappeared, and the influence of partisan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models. In addition, attitudes toward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tapping and monitoring and economic development versus democracy issues have a strong impact on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heir decisions on the bill, voters consider not only the partisanship and ideology, but also their stance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bill.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 설정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업과 사회계층의식
-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통일교육지원법’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자기조절역량 기반 코칭 효과척도 개발
- 평생교육으로서 행정학 전공의 가능성 분석
- 테러방지법 제정에 대한 유권자들의 태도 분석
- 한국 사회 전문가 집단의 내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 입시반복과 전공변경으로 재진학한 대학생들의 경험
- 데이터 과학시대 텍스트 데이터 분석기법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제도화를 위한 제언
- 기혼 여성의 자아분화 유형에 따른 정서 문제의 차이
- 장개석 국민정부의 미국 편승 전략과 한국의 독립 문제, 1942-1945
- 전문가 집단이 노동시장의 제도 도입 및 이행에 미치는 영향
- 빈곤 및 기후변화 국제개발협력의 리질리언스 접근법 적용을 위한 시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