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Julia Margaret Cameron’s Photo Album: The Artistic Transgression of Victorian Gender Ideology
이용수 2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Jeongsuk Kim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39호, 147~1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examines how Julia Margaret Cameron created her domestic artistry with her album-making at home. Many critics undervalue the artistic value of Cameron’s photographic album, the Overstone Album, as woman’s domestic interest. However, this essay argues that this album was not just a homemade gift by the stereotyped Victorian woman, but an ambitious visual project by the first Victorian female photographic illustrator who transgressed the limited conventions of gender ideology in the masculine Victorian art world. The essay first investigates how Cameron utilized her home, Dimbola, as a breeding place for her unconventional photographic world. It then turns to explore Cameron’s radical visual scenarios represented in her photographs, St. Agnes and Magdalene, based on Alfred Lord Tennyson’s “St. Agnes’ Eve” and “Maud” to argue her revolutionary attempt to challenge the photographic technique and conventional Victorian gender paradigm. Although Cameron’s Overstone Album was a cultural production, this essay argues that the aesthetic value of this album was more than this. It was Cameron’s artistic transgression of the limits of conventions through the most feminized domestic photographs.
목차
1. Introduction
2. Cameron’s transgressive photo making
3. Conclusion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이음 습득에 관한 연구
- 올리브 챈슬러의 성장이야기: 『보스턴 사람들』
- 학습자 실재감과 온라인 강의 도구가 온라인 비대면 토익 수업의 수업 만족도에 주는 영향
- 『모비딕』의 서술자 이슈마엘의 일상적 서사를 통한 공함의 자각
- “Heavenly Mingle”[d] Masculinity of Mark Antony in Shakespeare’s Antony and Cleopatra
- 들뢰즈의 소수자 문학론으로 본 포스트휴먼 담론: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 서사를 중심으로
- 실버포크 소설의 젠더적 기능—여성 재현을 중심으로
- Julia Margaret Cameron’s Photo Album: The Artistic Transgression of Victorian Gender Ideology
- Beliefs vs. Science in the Climate Change Debate: Richard Bean’s The Heretic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2호 목차
- 기능적 문해력을 넘어서: 2025 가을특집호 내러티브와 영문학/영어교육 서문
- 세 개의 수사로 바라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 - 맥루한의 실(복)낙원, 문해력 탐색과 구원의 신앙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