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rinary Arsenic Species Concentrations and Related Factors among Residents Living near Abandoned Metal Mine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울 지(Ulziikhishig Surenbaatar) 서정욱(Jeong-Wook Seo) 김병권(Byoung-Gwon Kim) 임현주(Hyoun-Ju Lim) 장준영(Jun-Young Chang) 이철우(Chul-Woo Lee) 조성식(Seong-Sik Cho) 손현진(Hyun-Jin Son) 홍영습(Young-Seoub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6권 제6호, 655~6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urinary arsenic concentrations by arsenic species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among local residents near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Methods: Among the subjects of the Health Survey of Residents Near Abandoned Metal Mines for 2013-2017, 664 peopl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Urinary arsenic specie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CP/MS.
Result: The geometric means (95% Confidence Interval) by urinary arsenic species were 0.15 (0.13-0.17) µg/L for AsIII, 0.64 (0.55-0.75) µg/L for AsV, and 1.21 (1.05-1.40) µg/L for inorganic arsenic. The geometric means of urinary MMA and DMA were 1.58 (1.35-1.86) µg/L and 77.93 (72.61-83.63) µg/L, respectively, and that of organic arsenic was 83.15 (77.80-88.88) µg/L.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arsenic in the group using groundwater as drinking water was 1.36 (1.13-1.64) µg/L,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1.00 (0.80-1.25) µg/L in the other drinking water groups. Regarding rice consumption,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arsenic in urine in the group whose consumption was more than half rice produced in the residential area was 1.32 μg/L,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1.12 μg/L for the group whose consumption was less than half.
Conclusion: I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urinary inorganic arsenic concentration of the residents of the abandoned metal mine area, the use of groundwater as drinking water and consumption of rice produced n the residential area were considered related factors.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오 “가습기 살균제 제품의 건강위험 고찰 - 제품 수와 살균제 성분을 중심으로 -”
- [편집인 글] 한국환경보건학회지의 현황 고찰
-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입경분율 분석
- 공주시 노인의 주관적 건강 지식과 환경 노출 저감 행동의 관련성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상황에서 서울시 다중이용 시설 및 실외에서의 마스크 착용 행태
- 경기도 해수욕장 모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선행연구
- 운행 중 대중교통차량 내 부유진균 농도 분석
- 경기도내 물놀이형 수경시설 중 미생물 분포 조사 연구
- 곰팡이에 감작된 소아 천식 환자 가정내 환경유해물질 농도와 폐기능의 상관관계
- 동물 분변으로 인한 모래 바닥재의 오염실태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질소분석방법개발-
- 폐금속광산 지역 주민들의 요 중 비소종별 농도와 관련요인 평가
- 요인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사고 잠재적 피해에 대한 도시 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 울산지역 초등학교 학생에서 대기중 꽃가루 비산 수준과 흡입 알레르겐 감작률과의 관련성
- 피톤치드 기상서비스 예측 모델링 적용을 위한 발생특성 및 기상인자 조사
- 실험동물 랫드를 이용한 미세먼지 기도노출에 따른 호흡기계 독성에 대한 마늘의 예방효과 탐색
- Monte-Carlo 모의실험을 이용한 초·중·고등학교의 환기부족 평가
- 손소독제 사용 실태 조사 및 성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