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제 모순광고가 효과적일까?
이용수 76
- 영문명
- When is the Oxymoron Advertising Effectiv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은영(Lee, Eun Young) 주경희(Chu, Kyoung hee)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8권 제5호, 177~18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모순광고 사례가 증가하면서, 모순광고에 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모순광고란 모순어법을 사용한 광고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순광고의 효과가 개인의 자시감시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에 따라 모순광고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규명하였다. 실험 결과, 자기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는 모순광고에 대한 태도가 일반광고에 대한 태도보다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들은 일반광고에 대해 모순광고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실무에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모순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더불어 개인 특성 중 하나인 자기 감시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고 사료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광고전문가가 신박한 광고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때, 브랜드 목표 고객의 특성들을 잘 파악하여야 기대하는 광고효과를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oxymoron advertising according to consumer’s self-monitoring.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oxymoron advertisement despite the increasing trend of oxymoron advertising. This study tries to fill this gap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trait which affects oxymoron advertising.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oxymoron advertising effect are differerent depending on the consumers self-monitoring. The key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Consumers with high self-monitoring prefer oxymoron advertising to general advertising whereas for consumers with low self-monitoring, they prefer general advertising to oxymoron advertising.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sights by providing the importance of consumer’s self-monitoring in understudying the effect of oxymoron advertising.
목차
I. 서 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실 험
IV.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택배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서비스품질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도요타 생산방식의 도입실패원인과 도요타 기업문화
- 철도산업 경쟁에 관한 연구
- 스마트공장 참조모델 개선 방안 연구
- 물류 공동화를 통한 운영 효율성 향상 방안
- 고령자집단과 청장년 집단 간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기능사용의 지각된 용이성 차이
- 베트남 드라마 속 제품배치의 정보원천 효과
- 공학과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협업에 의한 캡스톤디자인 교과 개발 사례
- 음식관광객 특성, 음식관광활동에 따른 음식문화속성 중요도, 만족도 차이연구
-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가맹본부 지원의 효과성 연구
- 신규 향수 제품 개발을 위한 기존 제품의 성분 프로파일 분석 연구
- 감각추구 성향이 주류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환경의 질서(무질서)가 소비자의 자아고갈, 해석수준 및 제품 선택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ontent Marketing on E-commerce Platforms: Evidence from China
- 서비스 충성도의 형성과정에서 인적 동일시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대한 IPA 분석
- 경제 블로킹의 상황적 이슈에 따른 자민족 중심주의가 국산 제품과 외국산 제품에 대한 평가 및 브랜드 간섭효과에 관한 연구
- 제품의 시각적 제시방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통제감에 따른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의 효과 차이
- 항공서비스 전공학생들의 교수지지, 진로준비행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 언제 모순광고가 효과적일까?
- 음성인식 기반 가상비서 서비스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