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nalyzing the Validity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Concentrations of VOCs in the Atmosphere Using the CalTOX Model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옥(Ok Kim) 이민우(Minwoo Lee) 박상현(Sanghyun Park) 박창용(Changyoung Park) 송영호(Youngho Song) 김병빈(Byeongbin Kim) 최진하(Jinha Choi) 이진헌(Jinhe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6권 제5호, 576~58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alculated local residents exposures to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using the CalTOX model and carried out uncertainty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The model validity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and the actual atmospheric concentrations.
Methods: Uncertainty was parsed by conduct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ensitivity was dissected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s) method. The model validity was analyzed by applying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MSE (root mean square error), and the Nash-Sutcliffe EI (efficiency index) formula.
Results: Among the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in this study, benzene was the highest and the lifetime average daily dose of benzene and the average daily dose of xylene were high. In term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outcome, the source term to air, exposure time, indoors resting (ETri), exposure time, outdoors at home (ETao), yearly average wind speed (v_w), contaminated area in m2 (Area), active breathing rate (BRa), resting breathing rate (BRr), exposure time, and active indoors (ETai) were elicited as input variables having great influence upon this model. In consequence of inspecting the validity of the model, r2 appeared to be a value close to 1 and RMSE appeared to be a value close to 0, but EI indicated unacceptable model efficiency. To supplement this value, the regression formula was derived for benzene with y=0.002+15.48x, ethylbenzene with y ≡ 0.001+57.240x, styrene with y=0.000+42.249x, toluene with y=0.004+91.588x, and xylene with y=0.000+ 0.007x.
Conclusions: In consequence of inspecting the validity of the model, r2 appeared to be a value close to 1 and RMSE appeared to be a value close to 0, but EI indicated unacceptable model efficiency. This will be able to be used as base data for secur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model.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인 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서의 개인 권리와 공중보건의 대립
- CalTOX 모델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대기 중 예측 농도와 실측 농도간의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2020년 충남지역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한 대형 식중독의 사례 보고
- 황사 발생과 대기 중 PM₁₀, PM₂.₅, Cd, Pb 농도의 상관성
- 서울시 초등학교 실내 먼지 중 프탈레이트 오염실태 조사
- 물질과 제품 사용에 의한 국내 중독(poisoning) 건수 추정
- 시간활동양상에 따른 주택의 시간대별 실내·실외 초미세먼지 농도비
- 치과위생사의 작업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모 지역 소규모급수시설 비소검출에 따른 생물학적 노출 평가
- NaDCC (sodium dichloroisocyanurate) 성분 가습기살균제 유사제품의 특성과 의료기관에서의 사용 사례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화학사고 후 주민복귀 및 피해복구 시점 결정을 위한 인체지표 개발
- 가습기 살균제 제품의 건강위험 고찰 - 제품 수와 살균제 성분을 중심으로 -
- 소방 실화재 훈련에서 사용하는 압축목재 가연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특성
-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f a Long-term Care Hospital with Respect to COVID-19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