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공문서 작성 관련
이용수 390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for Occupational Purpose, Focused on Writing of Official Documents
- 발행기관
- 중동유럽한국학회
- 저자명
- 손영은(Son YoungEun)
- 간행물 정보
- 『CEESOK Journal of Korean Studies』CEESOK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1, 77~1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 in other words “Business Korean” by identifying education methods, contents and their results of lesson through the lesson examples and accomplished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9 aimed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ird grade learners at Istanbul University. As the result, we were able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request and delivery and content constitution of the document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Furthermore, it improved the sense of repulsion and diffuculty about new lesson and confirmed its importance in that it makes learners to realize how to create necessary contents and ideas for their business practice by themselves. If there is a suggest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for occupational purposes based on more examples, we can discuss it by dividing it into subjects related to learners, teacher and lesson.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oing to put into effect for occupational purposes, the number of learnes participate in should be suitable for learners and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advanced. Also, teacher should possess professionalism, and the textbook, period or time and course of study should be determined under the big goal of business dialogues and essays.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lesson that progressed for one semester, progressing this lesson for one year and 15 weeks for one semester for one and a half or two hours for 15 to 20 students that aimed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by dividing it business dialogues and essays will produce its fruits with the effort of the teacher.
목차
1. 서론
2. 직업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 : 공문서 작성 관련 한국어 교육 사례 제시 및 의의
3. ‘공문서 작성’ 교육 과정 사례를 통한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 방안에 관한 제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East Asia: South Korea’s “green diplomacy”
- The Renaming of Administrative Units in North Korea until 1999
- 직업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공문서 작성 관련
- 중·동유럽에서의 한국학 동향분석과 발전방향
- 중고급 수준 성인 KSL 학습자를 위한 전환학습으로서의 한국어교육
- 민중문학 조선어문학의 애국주의자
- 편집위원장의 글
- 사라져 가는 전통적 상징이 국가 이미지에 끼치는 긍정적 효과
- 한국 죽음준비 의례에 대한 검토
- 상위 정도어들의 의미와 결합 정보
- 우크라이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 소설 교육
- 한국학자료 외국어서비스 현황과 번역시스템의 필요성
- CEESOK Journal of Korean Studies
- 터키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 문학 번역 교재 개발 연구
- The Horak debates of the Joseon Neo-Confucianism - the substance of Mind (Sim 心) in the context of between Nature (Seong 性) and Principle (Ri 理)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