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the Status and Causes of Growing Service Trade Deficit: Focused on Korean Tourism Industry
이용수 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서헌(Heon Seo)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9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6년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는 2005년도 대비하여 60%가 축소된 60억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281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2004년에 비하면 매우 축소된 흑자규모로 그 결과는 매우 충격적인 것이다. 특히, 해외여행과 유학 및 연수등이 포함된 서비스 무역 적자는 187억을 기록하였으며, 그중 여행(유학 및 연수포함)수지 적자는 전년보다 33억달러가 증가한 129억 달러를기록하여 역대 최고 수준인 것이다. 결국, 여행 수지적자가 서비스무역 수지적자의 주된이유가 된 것이다. 여행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은 아웃바운드 관광객의 숫자가 인바운드 관광객의 거의 2배에 육박하여, 결국은 국외에서 한국인들이 사용한 달러가 관광수입으로 들어온 외화를 크게 앞지르면서 관광수지적자를 야기 시킨 것이다. 한편 유학 및 연수비용도 크게 성장하면서 관광수지적자의 폭을 더욱 넓힌 계기가 된 것이다. 그리하여, 지난 수년간의 관광수지적자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인바운드 관광산업의 촉진과 함께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 향후 여행수지 적자의 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서비스무역 수지 개선이 예상되며, 이를 위해서는 민관이 긴밀한 협조를 통해 서비스무역 수지 관리에 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 이라고 사료되는 바이다. 또한, 외래 관광객들의 느끼는 남북한 대치 상황의 개선, 즉 정치적 안정은 한국 인바운드 관광의 안정성을 가속화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결국, 여행수지 적자의 폭을 줄임으로써, 무역수지 개선을 가져온다면, 한국관광의 위상이 올라가면서 국가 경쟁력이 상승되고 국가이미지 또한 상승되어 한번에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win-win 구도가 형성되어, 한국 서비스산업 발전과 무역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신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is examined to illustrate Korea’s status in service trade, including travel deficit, outbound travel market, and inbound travel market. This research will also illustrate what factors generate the growth of travel deficit and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solve it even if government notes a steady increase in exports of cultural products and programs and entertainment services, driven by the Korean Wave sweeping across Asia. The study suggested some possible alternatives such as growth of travel balance, improvement of low image on Korean tourism, aggressive participation of government, strengthened role of Korean Tourism Organization(KTO), and appropriate control on overseas studies to lessen an increase of travel deficit.In addition, the study concluded, even if a tourism industry includes a higher multiplier effect,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intention by Koreans themselves and the strong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nother major successful factors to settle down the travel defici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and Measures
Ⅳ. Korea’s Status
Ⅴ. Analysis & Results
Ⅵ. Alternative Suggestions and Possible Actions
Ⅶ. Recommendations
Ⅷ. Conclusion
Ⅸ. Limitations and Further Study
Reference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Paradox and Pitfall in an Analytical Approach to China’s Politics and Economics and The New Perspective
- 우리나라 제3자 물류업의 문제점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병원의 e-SCM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전자무역 프로세스의 확립을 위한 BPM 도입과 적용분야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한 해외조림사업 추진체계 개선방안
- 아시아 시장에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수출의 One Source Multi-Use(OSMU) 효과분석
- 수출마케팅에서 무역e-Marketplace 참여기업의 환경-활용-성과모형에 관한 연구
- 국제상업회의소 GUIDEC Ⅱ의 전자인증관행의 내용 검토
- 글로벌 게이트웨이 논의와 한반도 서비스산업 비전 및 전략
- 한미 FTA협상 타결에 관한 양국간의 문제점 및 대응방안
- UCP 600의 주요개정 내용 및 실무적용상의 문제점에 대한 관한 연구
- 개성공단 활성화를 위한 남북한 전자상거래협력사업
- e-마켓플레이스 판매자와 구매자 신뢰도 측정
- 외국 자동차 제품의 국가이미지와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and Causes of Growing Service Trade Deficit: Focused on Korean Tourism Industry
- 무역 e-마켓플레이스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전자무역결제 유형의 제도적 상호관계성에 따른 접근방안
- 중국 물류네트워크의 생산성과 한국의 글로벌통상전략
- 일본의 무역금융EDI에 있어 국제해상보험증권의 전자화 현황과 향후과제
- ODR 관련 규정체제에 관한 논의
- “WTO보조금 협정하의 분쟁사례 연구”
- 일반균형분석을 통한 한ㆍ중 자유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와 추진 타당성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인식이 인스타그램 팔로워 반응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Export Diversification: Analyzing Export Product and Partner Variety Extensive Margins
- 수출입기업의 환위험 관리를 위한 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