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tives, Strategies and Pattern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Case of Japanese and Korean Firms
이용수 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Kang-H. Park Yong-Taek Lim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7권 제4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study globalization motives and strategies of Japanese and Korean industries by analyzing the causes and pattern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of the firms of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1980s and 1990s. First we develop a FDI function from the profit maximizing model of firms. Then we us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internally driving-out factors and externally-inducing factors. Japanese FDI strategy has gone through three different stages; from natural resource-seeking investment in the 1950s and 1960s to market-expansion investment in the 1970s and 1980s and to a combination of cost-reducing (low-cost labor-seeking) investment and market-penetrating investment in the 1990s. On the other hand, Korean FDI behavior has gone through four different stages; from the learning stage with small investments in the 1970s, to natural resource-seeking investment in the early and mid 1980s, to the growth stage in the late 1980s and the early 1990s, to the maturity stage of the mid and late 1990s. The last two stages were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cost-reducing investment and market-seeking investment. As a late comer, Korea began its FDI two decades later than Japan, but caught up the patterns of Japanese FDI by the mid 1990s and is in a competing position with Japan. Our findings show that both Japanese FDI and Korean FDI in Asi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tendto be in labor-intensive sectors where their firms are losing their comparative advantages at home. The main motive for FDI into these regions is low-cost resource seeking. On the other hand, both Japanese FDI and Korean FDI in the U.S. and Europe tend to be knowledge-intensive sectors where Japanese and Korean firms attempt to internalize transaction and information costs by globalizing its production. The main motive for FDI into these regions is market-seeking. Firms in both countries have increased their investments in Mexico and Western and Eastern Europe in order to penetrate large economic blocs such as the EU and NAFTA area. Korean firms are more aggressive in expanding into new and untested markets than are their counterpart in Japan. Evidence of this can be seen in the scarcity of Japanese FDI and abundance of Korean FDI in Eastern Europe and China.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rend in Japanese and Korean FDI Outflow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소모성자재(MRO) 관련 e-Marketplace의 경쟁구조와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 글로벌금융시대의 투자자 정보불균형 해소에 따른 기업성과에 대한 연구
- 음원의 디지털화에 따른 음악 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베트남의 무역 및 투자협력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 무역거래에서 전자선화증권의 활용에 관한 고찰
- 무역절차 간소화를 위한 Single Window 구축에 대한 연구
- Business Blogging e-Hub: An Innovative Approach to e-Business
- 유비쿼터스 시대의 비즈니스 인식에 대한 실증분석
- 전자무역업체의 바이어 관계결속과 시장진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Art of Arbitration: Dispute Resolutions in Shakespeare’s The Merchant of Venice
- 글로벌 전자무역 구현모델에 관한 연구
- 외국인직접투자 유치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 ISBP상의 복합운송서류의 일치성에 관한 심사기준
- 이동통신사의 콘텐츠 시장 진입에 따른 영향과 정책과제
- 무역금융EDI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 Motives, Strategies and Pattern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Case of Japanese and Korean Firms
- WTO체제하 한국 조명기기산업의 경쟁력과 불공정 무역
- 남북한 교역 확대를 위한 전자상거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 국산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전자무역지원정책의 과제와 대응방안
- 마케팅적 성공요인 관점에서 본 미술품 전자상거래분석
- 정보화 시대의 전략적 인적자원 관리
- 중국의 서부대개발과 신공간혁신클러스터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인식이 인스타그램 팔로워 반응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Export Diversification: Analyzing Export Product and Partner Variety Extensive Margins
- 수출입기업의 환위험 관리를 위한 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