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가 FTA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조사 연구
이용수 63
- 영문명
- SMEs Intentions on Mega FTA: A Case Study of Kyunggi, Busan-Kyungnam, Gangwon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정용균(Yongkyun Chung) 이계열(Gae-Yul Lee)김홍률(Hong-Youl Kim)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2권 제1호, 133~1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중국을 위시한 15개국간의 FTA로 출범한 RCEP은 종래의 FTA 이해 범위를 넘어서는 메가 FTA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새로운 유형의 FTA가 도래함에 따라 메가 FTA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경기, 부산경남, 강원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메가 FTA에 대한 설문지 방식을 통해 메가 FTA에 대한 인식정도를 조사한 것이다.
연구결과 중소기업인들의 메가 FTA에 대한 인식이나 이해 정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리나라가 RCEP 등 메가 FTA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 절반 이상이 모르고 있었고, 메가 FTA가 누적원산지 규정을 적용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90% 가까이 모르고 있었다. 그러나 향후 메가 FTA에 대한 기대와 활용의지는 매우 높았다. 비록 메가 FTA의 원산지규정이 복잡해진다고 해도 기업들은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 더 많이 사용하려는 의지는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중소기업인들은 정부기관이나 협회로부터 메가 FTA에 관해서 충분히 교육을 받고 있지 못하고 있고, 향후 메가 FTA에 대한 교육과정이 개설된다면 충분히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RCEP 등 메가 FTA가 발효될 것이다. 통상정책 당국은 이제 새로운 유형의 FTA 시대에 대비해야 하고, 협회 등 유관기관에서는 양자간 FTA와는 다른 메가 FTA만의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In recent times, the spectrum of FTA has widened, since FTA has evolved from bilateral FTA to Mega FTA. RCEP and CPTPP appears as an identity respectively. Furthermore, US and EU continue to negotiate to form an another Mega FTA including US and EU member countries. In Asia, ASEAN and SAARC has a possibility to form a Mega FTA among them. This paper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quo of SMEs in understanding of Mega FTA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 a case study consisting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We examine SMEs awareness of Mega FTA and question the extent of their information of Mega FTA in order to prepare the age of Mega FTA. In particular we ask SMEs information on cumulation rule of origin. Our findings are first, most of respondents do not know the full contents of Mega FTA. Second, the considerable portion of SMEs does not know the concept of cumulation rule of origin. Third, SMEs are willing to participate the training course of Mega FTA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본구조 비교를 통한 기업 취약성 분석
- CISG와 PACL 초안 상 손해배상액의 산정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 디지털 기술경쟁력이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 The Determinants of Bank Profitability: Evidence from Listed Banks in China
- 수출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 활성화에 대한 실증연구
- An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China s Product Export Competitiveness to the United States based on Production Division
- NAFTA가 멕시코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인도네시아시장에서 한국 수출상품의 국제 경쟁력 분석
- Post-adoption Behaviors of Users in Mobile Payment Application
- 국제운송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
- 인천국제공항 환적화물의 변동성과 화물유치전략
- 전자상거래무역의 통관·배송서비스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중독 성향과 심리적 반응 및 사후행동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학협력 액션러닝 모델 개발
- A Study on the WTO Security Exceptions: Focusing on Russia-Measures Concerning Traffic in Transit
- 메가 FTA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조사 연구
- 한·중 전자상거래와 제3자 물류 기업들의 경영구조 비교 분석
- 중국 수출입 제조기업의 Green SCM 구축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인식이 인스타그램 팔로워 반응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Export Diversification: Analyzing Export Product and Partner Variety Extensive Margins
- 수출입기업의 환위험 관리를 위한 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