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치료사에서 임상경력에 따른 상담 및 평가 실무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
이용수 252
- 영문명
- Occupational Therapist Perception Difference of Counseling and Evaluation Pract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저자명
- 이다혜(Da-Hy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제12권 제1호, 11~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설문을 통하여 작업치료사 임상경력에 따른 상담 및 평가 실무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하는 임상경력3년 미만의 초임작업치료사와 임상경력 5년 이상의 선임작업치료사 총 223명이었다.
방법: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5문항과 상담 및 평가 실무역량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실무역량에 대한 인식 수준은 5점 척도로 조사되었으며, 초임작업치료사는 자신이 평가하였으며, 선임작업치료사는 초임 작업치료사를 평가하였다.
결과: 임상경력에 따른 실무역량 인식에 있어서 초임작업치료사가 선임작업치료사 보다 상지평가, 인지평가 항목에서 실무역량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초임작업치료사는 임상관찰, 가동범위검사, 근력검사, 감각검사, ADL 검사, 삼킴평가 항목에서 실무역량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결론: 초임작업치료사는 실무역량을 선임작업치료사로부터 인정받는 수준으로 숙련되는데 3년 이상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치료사 양성교육과정에서 실무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육의 질적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actical competency in counseling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linical experi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rough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5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8 questions of practical competency in counseling and evaluation. The awareness level of practical competency was surveyed on a 5-point scale, where the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evaluated themselves, and the senior occupational therapists evaluated the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In awareness of actual competency based on clinical experience, the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showed no difference in actual competency i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evaluation and cognitive evaluation items compared to the senior occupational therapists. However, the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actical competency in clinical observation, range of motion test, muscle strength test, sensory test, ADL test, and swallowing function test.
In conclusion, a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 needs more than three years to be skilled at a level recognized by a senior occupational therapist.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improve actual competency in the training program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Ⅵ. 요 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도구를 이용한 목적있는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작업치료사에서 임상경력에 따른 상담 및 평가 실무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
- 경도인지장애 노인에서 인지 자극치료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 환자의 신경인지재활치료에 대한 고찰
- SCOPE 평가도구를 이용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MOHO 모델 치료 사례연구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라이트 박스 훈련이 감각처리 및 작업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 작업치료 지원 Learning Tree 인지 모델 프로그램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s of Progressive Velocity Underwater Gait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Stroke Patients
- Performance Evaluation of ChatGPT-4o on Korean Physical Therapist Licensing Examination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