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퍼블리시티권 관련 국내 판결에 대한 고찰
이용수 3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Right of Publicity cases in Korea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석현수(Seok, Hyunsoo)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34권 제2호, 149~1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퍼블리시티권은 개인이 성명, 초상이나 기타의 자기동일성(identity)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통제ㆍ제한할 수 있는 권리이다.
우리 법원은 퍼블리시티권 및 그 양도성・상속성을 인정할 것인지에 관하여 상충되는판결을 선고하여 왔다. 매우 유사한 사안에서도 일부 법원은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할 뿐만 아니라 그 양도성・상속성까지 인정하는가 하면 다른 법원은 퍼블리시티권 자체를부인하는 판결을 선고하였는데, 이러한 상충된 판결들은 유명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등의 명성에 대한 상업적 이용에 관하여 법적 혼란을 가져왔다.
그렇다면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국회의 입법이 없는 상황에서, 법원은 어떻게 이런 혼란을 해소할 것인가? 이 문제에 관하여 우리 법이 이미 초상 등 자기동일성 지표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국내 판결들을 살펴보고, 우리 법이 인정하는초상영리권 등과 퍼블리시티권의 관계를 검토하여,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상충된 판결로 인하여 야기되는 혼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right of publicity is the right of each individual to control and profit fromthe value of his or her name, image, likeness, and other indicia of identity.
Korean courts have rendered conflicting judgments about whether to acceptthe right of publicity established and developed mainly in USA as an new rightin Korea, and whether this right can be assigned and inherited. While somecourts rendered the judgments to accept the concept, assignability, inheritance ofthis right, other courts refused to accept this right in very similar cases. Theseconflicting judgments has brought serious legal confusion especially in the commercialuse of celebrities reputation.
Then, how the courts can resolve this confusion in the situation that there hasnot been the legislation on the right of publicity? About this problem, we needto note that the Korean law already recognized the right of portrait and otherindicia of identity as a personal right.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Korean cases relating to the right of publicity,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of portrait and the right of publicity,and try to find the solution to resolve the confusion caused by inflictingjudgment of courts about the right of publicity.
목차
Ⅰ. 서설
Ⅱ. 미국에서의 퍼블리시티권
Ⅲ. 퍼블리시티권 관련 국내 판결에 대한 대한 유형별 고찰
Ⅳ. 우리 법원은 퍼블리시티권 및 그 양도성·상속성을 인정하여야 하는가?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규제체계 개선
- Multijurisdictional Litigation in International IP Disputes
- 이행이익과 신뢰이익에 대한 재고찰
- 일본 지방자치법상의 쟁송제도와 시사점
- 行政法・民法의 接點에서의 訴訟類型의 交錯
- Industrialization, the Developmental State in the 21st Century and International Trade: The Chinese State, Modernization of the Chinese Motor Vehicle Industry and the WTO
- 유럽소액사건심판제도에 관한 연구
- 중국 민사소송법의 최신 개정 및 시행
- 孟子의 暴君放伐論
- 光大证券事件的法律问题
- 전자증거의 수집 및 조사에 대한 형사소송법적 검토
- 한국 기업의 중국 상장회사 M&A에 대한 법적 고찰
- 中国民事诉讼法的新近修改与实施
- Looks Great Outside, but Maybe Not So Grandeur Inside: Challenges Faced By Permanent International Tribunals
- 과실범의 불법요소로서 객관적 주의의무
- 대학명칭을 영업표지로 사용한 경우의 영업주체혼동행위 여부에 대한 고찰
- 퍼블리시티권 관련 국내 판결에 대한 고찰
- 자유무역협정에서의 일반예외조항에 대한 연구
- 사업신탁의 가능성과 그 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