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환경교수효능감이 환경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75
- 영문명
- The Effect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Beliefs on the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제지원(Jae, Ji Won) 정수진(Jeong, Su 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1호, 325~3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환경소양, 환경교수효능감, 환경교수실제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환경소양과 환경교수효능감, 환경교수실제의 관계를 파악하여 환경소양과 환경교수효능감이 환경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남지역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2월 11일부터 3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77부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환경교수효능감, 환경교수실제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환경소양, 환경교수효능감, 환경교수실제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교수실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환경교수효능감이었으며, 다음으로 국공립유치원 교사, 환경소양의 하위요인 중 행동, 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과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높은 환경소양과 환경교수효능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ends of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dentify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facto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beliefs on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1 to March 15, 2019, using questionnair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nam area. 277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generally medium leve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econd, there we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Third, environmental teaching practice is influenced mostly by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beliefs, follow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behavior, and knowledge of the environmental literacy sub-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make environmental education more effectiv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진로사정을 위한 모바일 직업카드검사개발 연구
- 대학생들의 대학교육의 의미에 대한 인식 분석
- 2세 영아와의 놀이에서 나타난 아버지 상호작용의 양상과 의도 사례연구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도구 개발과 적용
- 중학교 2학년 다문화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과 모국어 사용 정도에 따른 군집분석
- 피아노 교육에서 사용되는 쇼팽 에디션의 활용방안을 위한 비교 연구
- 앙트러프러너십(Entrepreneurship) 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 및 조절효과
- 고등학생의 봉사활동, 진로활동과 리더십 생활기술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을 위한 동영상 기반 가슴압박소생술 교육방법 제안
- 체화된 인지 관점의 수학 중심 융합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집단창의성 발현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심리적 독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 및 가족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
- 청소년 기업가정신 척도개발 및 타당화
- 배움을 ‘위한’ 사회문화적 유아평가의 탐색
- 청소년활동 참여 경험이 중학생의 갈등해결역량에 미치는 영향
- A Comparative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tres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 일학습병행 교육훈련과정 이수자와 중단자간의 특성에 대한 차이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고정신념, 테크놀로지 지식, 테크놀로지 통합에 대한 자기효능감 연구
-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독서활동과 학업성취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분석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메이커 디지털 기반 유아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유·초 연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예비체육교사의 체육교과 신념 유형 분석
-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이 아동의 그릿을 매개로 아동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 CPS 기반 예비유아교사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다문화 청소년의 교사관계가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 성격강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교사의 환경소양과 환경교수효능감이 환경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튜터링프로그램에서 튜터와 튜티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분석
- 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기대
-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과 양육책임감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지도 프로그램 효과 분석
- 전공만족도 수준에 따른 학습참여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북한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의 의미와 정규교육과정 통합 방안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및 분노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Chinese College Students
- 고등학생의 배경 변인별 학교안전교육 인식 실태 분석
-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나타난 교육적 함의
-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대졸취업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시적 상상력 계발을 위한 교육 방법 연구
- 국내 증강현실 활용 교육 연구 동향
- 유아의 수학 패턴 과제 유형에 대한 시선 이동 특징 분석
- 학생선택 교육과정 운영학교의 실천 사례 분석과 고교학점제에의 시사점
-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급풍토가 학교폭력예방문화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분석
- 초등학생 인성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디자인 씽킹 기반 창의적 활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 초심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간호학생의 학년에 따른 조직관리 역량 및 뇌 기능 분석
- 특목고 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 동기,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