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 장르별 아트 인퓨전 제품의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

이용수  221

영문명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Art Infusion Products by Painting Genre: Focusing on Consumers’Need for Uniqueness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이영재(Lee, Young-jae) 이호배(Lee, Hobae)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8권 제2호, 79~8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트 중에서 서양 고전 미술 장르와 서양 현대 미술 장르로 구별해서 제품에 아트 인퓨젼을 했을 때 소비자의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예방 조절 초점에 따라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실험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알아냈다. 첫째, 제품에 미술 장르별(고전미술 vs 현대 미술) 아트 인퓨젼을 한 경우에, 고전 미술 장르가 현대 미술 장르보다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가 더 높았다. 둘째, 미술 장르별 아트 인퓨젼을 한 경우에,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는 제품 태도에 대한 조절적 역할은 유의적이었다. 구체적으로 독특성 욕구가 낮은 소비자의 경우, 현대 미술 장르보다 고전 미술 장르에서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으나, 독특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 집단에서는 그 차이가 없었다. 한편 독특성 욕구의 구매 의도에 대한 조절적 역할은 유의적이지 못했다. 셋째, 미술 장르별 아트 인퓨젼을 한 경우에 예방 조절 초점이 미술 장르별로 제품 태도에 대한 조절적 역할은 비유의적이었으나, 구매의도에 대해서는 유의적이었다. 구체적으로 예방 초점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 현대 미술 장르보다 고전 미술 장르에서 구매 의도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으나, 예방 초점이 높은 소비자 집단에서는 그 차이가 없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by empirical analysis. First, when infusing a painting into a product, the classical painting genre had a higher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the modern painting genre. Second, when infusing painting genr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had a moderating effect on attitude toward the product.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low need for uniqueness, product attitude was higher in the classic painting genre than in the modern painting genre, but th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ng role of prevention focus on product attitude by painting genre was not significant, but significant on purchase intention. Specifically,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low prevention focus, purchase intention was more favorable in the classical painting genre than in the modern painting genr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sumer group with high prevention focu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가설 설정
IV. 연구 설계 및 가설 검증
V. 가설 검증 결과
VI.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재(Lee, Young-jae),이호배(Lee, Hobae). (2020).미술 장르별 아트 인퓨전 제품의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 상품학연구, 38 (2), 79-89

MLA

이영재(Lee, Young-jae),이호배(Lee, Hobae). "미술 장르별 아트 인퓨전 제품의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 상품학연구, 38.2(2020): 79-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