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눈대상포진환자에서 눈물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의 유용성
이용수 35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the Tear Varicella Zoster 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Herpes Zoster Ophthalmicu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형준(Hyung Jun Park) 백혜정(Hae Jung Paik) 김동현(Dong 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4, 334~34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눈대상포진환자에서 눈물의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tear varicella zoster 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VZV PCR)가 바이러스 안구침범 증상의 발생과 재발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2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본원 안과에 처음 내원하여 눈대상포진으로 진단받은 환자 69명의 후향적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눈대상포진은 심한 통증을 동반하면서, 환측 눈 주변으로 수포와 딱지가 나타나는 대상포진의 특징적인 임상양상을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눈주변으로 허친슨징후(Hutchinson’s sign) 유무, 환측 채취한 눈물에서의 VZV PCR 결과가 안구침범의 발생 및 재발과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총 69명 중 51명(73.9%)에서 안구침범 증상이 나타났으며 결막염이 45명(65.2%)으로 가장 많았다. 허친슨징후와 안구침범 증상발생 간의 연관성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47), VZV PCR과 안구침범 증상 발생 간의 연관성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5). 두 소견의 양성 유무와 안구침범 증상 간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곡선분석에서 VZV PCR의 곡선하면적(Area under the curve)이 허친슨징후에 비해 높았다(VZV PCR=0.72, 허친슨징후=0.63). 초진 시 각막포도막염 소견이 재발 위험인자로 확인되었으나(OR=30.53, p=0.033), 눈물 VZV PCR 양성 소견은 각막포도막염 또는 눈대상포진의 재발과는 관련이 없었다(p>0.05).
결론: 눈대상포진환자에서 눈물 VZV PCR 검사는 허친슨징후처럼 안구침범의 예측인자로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눈대상포진환자에서 초진 시 각막포도막염 소견은 눈대상포진 안구합병증 재발과 연관이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ear varicella zoster 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VZV PCR) results for the occurrence of ocular symptoms in patients diagnosed with herpes zoster ophthalmicus (HZO), as compared to Hutchinson’s sign,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urrence of HZO and VZV PCR result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using medical records from 69 patients diagnosed with HZO from February 2015 to June 2018. We investigated whether Hutchinson’s sign and VZV PCR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ocular symptoms and recurrence of HZO.
Results: Of the 69 patients, 51 patients (73%) had ocular symptoms and 45 patients (65.2%) had conjunctivitis as the most common ocular symptom.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Hutchinson’s sign and the occurrence of ocular symptoms, and between VZV PCR and the occurrence of ocular symptoms (p = 0.047 and p = 0.005, respectively).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Hutchinson’s sign and VZV PCR in ocular involvement of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tear VZV PCR was larger than Hutchinson’s sign (VZV PCR = 0.72; Hutchinson’s sign = 0.63). Only keratouveitis was identified as a risk factor for recurrence of HZO (odds ratio = 30.53; p = 0.033).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keratouveitis and recurrence of HZO (p > 0.05).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HZO, the tear VZV PCR may be as effective a predictor of ocular involvement as Hutchinson’s sign, and keratouveitis diagnosed at the initial visit was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HZO.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아 굴절력 측정 및 사시 유무 평가에서의 휴대용 시력검사기의 임상적 효용성
-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동반된 다발망막모세혈관종
- 섬유주세포에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Rho kinase 저해제의 세포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
- 안압하강제가 근시 망막층간분리에 미치는 효과
-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정상 소아청소년의 시신경유두 지표
- Talaromyces allahabadensis에 의한 진균각막궤양
-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생한 안와의 괴사근막염 2예
- 상안정맥혈전증을 동반한 경동맥해면정맥동루
-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전후 각막형태검사기의 눈물막 스캔과 Munk 점수의 연관성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과 뇌졸중 및 허혈심장질환 위험도: 표본코호트를 이용한 인구기반 연구
-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저시력 유병률 조사
- 한국인에서 발생한 유형 III 어셔증후군 1예
- 난치 녹내장에서 마이크로펄스 공막경유섬모체광응고술의 단기 임상효과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광역학치료의 장기 결과 및 재발과 지속 위험인자에 대한 고찰
- 눈대상포진환자에서 눈물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의 유용성
- 섬유주세포에서 황화수소가 산화스트레스와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
- 열공망막박리에서 공막돌륭술 후 발생한 중심와앞색소증식 1예
- 섬유주 미세우회 스텐트(iStent)삽입술의 단기간 치료 성적 및 수술 성공률 분석
- 척추수술 이후 발생한 두개내압 저하와 동반된 가돌림신경마비
- 침술에 의한 양안 안구천공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