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할인효과 없는 1+1 행사와 소비자오인성 판단
이용수 461
- 영문명
- 1+1 event for marketing without discount and misleading conduct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김도년(Kim, Do-Nyun)
- 간행물 정보
- 『법학논총』제38권 제4호, 291~3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표시광고법상 부당한 표시・광고의 판단기준인 소비자 오인여부는 평균적 소비자의 전체적 인상에 기초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판단기준은 종국적으로 법원만이 표시・광고의 부당성을 알 수 있다는 것으로, 표시광고법을 준수해야 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모호한 기준이다.
부당한 표시・광고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의 의미를 기준으로 우선 판단하고, 표시・광고의 내용이 외부상황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다른 의미로 전달될 우려가 있는 경우 사업자가 소비자의 오인이 없도록 주지시키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편 부당한 표시・광고를 판단하는 소비자 역시 사업자의 표시・광고를 주의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그 주의정도는 목적물, 표시광고 매체, 취약소비자 여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표시광고법상 소비자의 오인성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론적 노력이 필요하며, 이는 표시광고법을 준수해야 하는 사업자들에게 유효한 기준으로써 그 의의가 크다.
영문 초록
Deceiving or Misleading consumer, which is the basis for judging unfair advertising under the Act on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is based on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average consumer. However, this judgment standard is very vague for a business entity who has to comply with the Act on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as only the court can detect the unfairness of the advertisement.
In order to determine unfair advertisement, it is necessary to judge its own meaning first and to examine whether business entity is keeping consumers from being mistaken if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are likely to be delivered differently due to external circumstance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ho judge unfair advertisement also need to carefully understand the business entity s advertisement, which are affected by objects, advertising media, and vulnerabilities.
The Act on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requires methodological efforts to determine expression of deceiving or misleading consumer, which is meaningful as a valid criterion for business entity who must comply with the Act on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목차
[사실관계]
[판결요지]
[평석]
Ⅰ. 들어가기
Ⅱ. 부당한 표시・광고와 소비자오인성
Ⅲ. 부당한 표시・광고와 “상황관련성”
Ⅳ. 마치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日本における地方教育行政制度改革と教育の政治的中立性
- 목민심서상의 바람직한 법관상
- Current Discussions about Women and Trade in WTO
- 할인효과 없는 1+1 행사와 소비자오인성 판단
- 통신비밀보호법상 대화의 비밀 보호의 헌법적 한계
- 인공지능을 이용한 전자적 의사표시의효력에 대한 고찰
- 경영판단의 원칙과 이사의 업무상 배임죄
- The Enhancement of Maritime Safety in Korea: from Risk Management and Safety Culture to Legislation
- 일본 개정민법상 배우자의거주권 보호 규정에 관한 고찰
- 덴마크의 재생에너지 법제와 정책
- 국유특허 처분・관리 제도의 개선방안
- 헌법재판소 결정의 형성력
- 자율시스템에 의한 의사표시의 귀속
- 자율주행자동차의 운전자 개념에 대한 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