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완전 지역패권국 러시아의 탈냉전기 군사적 공세와 그 한계

이용수  66

영문명
The Limits of Russia’s Military Capability during the Post-Cold War Era
발행기관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저자명
안성규(AHN Sungkyoo)
간행물 정보
『신아세아』新亞細亞 第27卷 第1號, 93~12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러시아의 패권적 군사적 공세를 우려하는 유럽 내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가고 있다. 그런데 이를 패권 팽창으로 볼 것인가. 러시아는 1995년 군사패권 체제를 출발시켰지만 러시아 자체의 능력은 약했고 체제의 강압성도 문제였다. 이에 따른 불안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러시아는 패권 체제의 내적 강화와 외부 위협에 대한 공세적 억지를 병행했다. 외부 대응 공세엔 서방의 군사력 약화도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러시아의 외부 대응에는 본질적 한계가 있었다. 처벌적 억지라는 최대 수준까지 동원했지만 패권 팽창은 능력 밖이었다. 군사패권을 천명하면서도 ‘서방의 위협’ 프레임에 갇힌 러시아는 계속 이에 대응하는 도발적 군사 공세를 취하겠지만 능력 한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영문 초록

European concern about Russia’s capability to launch a military offensive is growing even though Russia’s conventional and nuclear power have been reduced drastically during the post-cold war era. Russia’s conventional capability in 2016 was 30-40% of the levels in 1992. Russia sought regional military hegemony, nevertheless, and compensated for those cuts by increasing military exercises, reorganization, forward deployment of offensive forces and enhancing the cohesion of CSTO members. These measures have been perceived by West as signs of a hegemonic ambition to support an expansionist policy. Yet Russia does not have a viable offensive capability. While the attacks on Georgia and Ukraine undermined those countries’ sovereignty, this type of aggression is more accurately considered a deterrence measure by punishment-retaliation to compensate for Russia’s weak hegemonic potential. Russia will remain a weak regional hegemon with only a relatively powerful military force. It will continue offensive, low-intensity hybrid military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uch aggression will intensify if Europe is not prepared to respond with greater will and readiness.

목차

I.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Ⅲ. 국가 목표로서의 군사 패권
Ⅳ. 공세 지표
Ⅴ. 패권 팽창인가 방어적 억지인가: 두 군사 갈등 분석
Ⅵ. 러시아의 향후 공세성 전망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성규(AHN Sungkyoo). (2020).불완전 지역패권국 러시아의 탈냉전기 군사적 공세와 그 한계. 신아세아, 27 (1), 93-124

MLA

안성규(AHN Sungkyoo). "불완전 지역패권국 러시아의 탈냉전기 군사적 공세와 그 한계." 신아세아, 27.1(2020): 93-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