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joint Analysis of Preferences on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Certificate School Meal Products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김성태(Sung T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7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447~4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determine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expand the supply of GAP agricultural products to school meals, by identifying the attributes that school meal nutritionists consider important when selecting apples for food. As an analysis method, the conjoint analysis method, which is easy to grasp consumer preference, was used.
4 things were set as attributes of apples for food ingredients. The attributes are consisted of PF(pesticide and fertilizer management) which represents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CCP(critical control point management) representing GAP certification, the GMO(GMO or NON-GMO) which is a weak point in the school food supply of GAP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price representing the school meal budget constraints.
As a result of the conjoint analysis of the school meal nutritionists, the attribute that they regards as important is price> PF> GMO> CCP. It is confirmed that the nutritionists do not consider the proper management of the CCP, which are the functional features of the GAP agricultural products, as compared with other attributes. Given these characteristics of sample nutritionists, it is important to be cautious at this point in the attempt to expand the supply of GAP agricultural products at school.
In addition to the conjoint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test and k-means cluster analysis. Overall, we can feel the limitations of GAP agricultural products. First, there is little need for GAP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meals. Second, the issue of GAP accreditation without regulatory restrictions on GMO seed will continue to be raised.
목차
Ⅰ. 서론
Ⅱ. GAP인증 및 학교급식 현황
Ⅲ. 분석모형 및 자료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환경농산물 공공급식 확대를 위한 제안
- 백색시유의 가공업체별 비대칭적 가격전이 분석
- 청년농업인·후계인력 육성 방안
- 충남지역 낙농가의 사양관리 및 경영실태 조사
- 미투상품의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라면시장과 음료시장을 중심으로-
- 4차 산업혁명과 농식품정책
- 벼 재배방법에 따른 기대소득의 확률우위성 분석
- 작물재배면적 통계 개선을 위한 무인항공기 활용
- 싼데 왜 안 먹지?
- 식품안전 정책결정 과정에서 식품안전정보의 역할
- 가축 전염병이 축산물 산지가격에 미치는 비선형적 영향 분석
- 식품안전규제의 근거기반 정책결정 관리방안 - 증거기반 정책결정으로서의 규제영향분석 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 배합사료 시장에서 농협계통사료의 가격견제 기능 분석
- 급변하는 소매 유통환경 속에서 친환경 식품 유통의 과제
- 양념채소 저장의 수급안정 및 경제적 효과 분석
- 로컬푸드 직매장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H 로컬푸드를 사례로-
- 스마트 농업 활성화를 위한 농업경영 분석 방안
- 농업분야 빅데이터의 활용 사례와 소셜네트워크 데이터 분석을 통한 농산물 가격 분석
- 정보화마을에 관한 만족도 연구 -충남 지역 5개 마을 중심으로-
- 한국 노령가구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기능성식품 소비행태 분석 -주 구매자를 대상으로
- 농업직불제 개선방향과 실천과제: 충남 농업생태환경프로그램의 사례
- Policy Impacts and Determinants of Food Wastes in Korea
- 주요 작물의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 한국 미작농가를 중심으로 Two-stage DEA 모형을 이용해서
- 국내 농업 콘텐츠 플랫폼 수립 및 활성화 전략 네이버 FARM판의 설립과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정가·수의매매 성과 분석 : 가락시장을 중심으로
- 스마트팜 농업의 정착을 위한 농업경영모델 구축
- 편의점을 활용한 농식품 유통망 확대방안 제안
- 한국방문비자 발급확대에 따른 중국 연변조선족자치구 농업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 수입농산물 과일의 원산지국가이미지, 브랜드이미지 및 지각된 품질 간의 관계연구: 자기해석의 조절효과
- 공간적 종속성을 고려한 기후변화가 벼 병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프랜차이즈 치킨 시장 유통마진 분석 -치킨 원료육의 오해와 진실-
- 농지연금 가입이 농가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과일 소비액의 불균등도와 양극화 분석
- 국가별 식품안전수준 비교를 통한 정책적 제언
- 현장적용성을 고려한 농업경영 연구주제 우선순위 분석
- 생산자지지추정치(%PSE) 추정 시 시장가격지지(MPS) 대상 품목 확대를 통한 지표 개선 방안
- 식품 산업에서의 생산성과 비교우위관계의 국가 간 비교 연구
- 적정 FTA폐업지원금 수준에 대한 조사 분석
- 제분용 밀 가공업자의 시장지배력 추정
- 농업경영의 관점에서 본 농지 이용 특성: 주요품목 소득조사 자료와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 Meat Consumption Behavior and Willingness to Pay for Organic Chicken: A Case Study of Malawi
- 사회적 환경비용을 고려한 최적 농업생산규모
- 돼지고기 인증마크의 경제적 가치와 비용편익 분석
- ICT 기반의 스마트 팜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안
- Spatial Price Dynamics in the U.S. Vegetables Sector
- 쌀 생산조정제 도입을 위한 시사점 모색: 논벼 재배농가의 영농형태 결정요인과 지역간 차이를 중심으로
-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GAP인증 학교급식농산물 선호도 분석
- 안전·안심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농업인의 역할
- 소비자가 원하는 친환경농식품
- 농업소득 변동성을 고려한 농외소득활동 참여 및 농외소득 결정요인 분석
- 원산지 표시제 단속에 대한 시스템 다이나믹스 모델 분석
- 전국이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 실현을 위한 농촌정책 위상과 방향
- 수확기 쌀값 예측모형 개선에 관한 연구
- 밀양시 체류형 농촌관광에 대한 도시민 인식조사 및 지불의사금액 추정 - 체험 마을을 중심으로-
- 동일본 대지진 전 ·후 소비자 안전 민감도 변화에 따른 일본 수산물 수입수요함수 추정 -인터넷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컨조인트를 이용한 B급 농산물의 구매속성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