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82년 박영효가 사용한 조선 국기
이용수 29
- 영문명
- 발행기관
- 태학사
- 저자명
- 김문식
- 간행물 정보
- 『문헌과 해석』통권 제36호, 121~13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일본의 국기를 목격함
황준헌과 이홍장이 제안한 용기(龍旗)
이응준이 제작한 조선 국기
마건충이 제안한 태극팔괘기
박영효가 제작한 태극사괘기
조선 국기가 걸린 연회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숙수념(孰遂念)』에서 꿈의 작용
- 이시발(李時發)의 『수성조약(守城條約)』과 임진왜란 이후 새로운 성제(城制)의 확립
- 숨어사는 음악가 장천용
- 안동 권씨가 남긴 한글 분재기(分財記)
- 1882년 박영효가 사용한 조선 국기
- 홍길주, 천고의 벗을 사귀다
- 조선의 다빈치, 정철조(鄭喆祚)
- 16세기 그림 속의 산수화병(山水畵屛), 그 안과 밖의 풍경
- 다산과 황상
- 정극순의 『연뇌유고』
- 홍길주의 꿈과 문학적 상상력
- 편집자의 말
- 『한중록』의 새로운 이본
- 기생, 그 존재와 삶
- 정선(鄭敾)의 금강산도(金剛山圖)에 대하여
- 키 작은 천재 고집쟁이, 박제가
- 가을 풍경
- 신라(新羅) 자장(慈藏)의 산서(山西) 오대산(五臺山) 행적
- 이덕리(李德履) 저(著) 『동다기(東茶記)』의 차문화사적 자료 가치
-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의 언어 문자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