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호 정취와 한적한 자태를 꿈꾸며, 한강변의 읍취당(揖聚堂)에 오르다
이용수 20
- 영문명
- 발행기관
- 태학사
- 저자명
- 김종태
- 간행물 정보
- 『문헌과 해석』통권 제65호, 68~81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누정(樓亭)은 근대 이후에 단절된 문화가 아니다.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문화가 달라져 그 형태를 달리하고 있을 뿐이다. 자연 풍광을 감상하며 답답한 마음을 펴고 벗과 손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이 바라는 이상향을 꿈꾸며 누정에 오르던 뜻과 지향은 현재에도 진행형이다.
각처에 세워진 전망대며 분위기 좋은 카페, 시골과 도시할 것 없이 동네모퉁이에 세워진 작은 쉼터부터 대도시 인근의 전원주택과 별장은 모두옛날의 누정이 담당하던 기능이다.
누정을 다룬 옛 문헌자료가 많다. 기문(記文)은 물론이요, 그 누정에 걸린 시판이며 주련 등 누정과 직접 관련된 문헌도 많고 유산기와 회화 속의 누정 등 간접적인 자료도 비교적 풍부하다.
누정을 다룬 현대의 연구물도 적지 않다. 누정이 건물이다 보니 건축학 관련 논문이 우선 많다. 문학 논문도 적지 않아 학위 논문과 학술지논문, 그리고 단행본 책 등 관련 연구가 다양하다. 연재 ‘누정을 오르다’에서는 이러한 옛 문헌과 현대 연구를 배경으로, 다채롭고 자유로운 방식으로 누정을 이야기해볼까 한다. 여러 제현의 가르침을 기대한다.
이번 호에는 성현(成俔, 1439∼1504)의 「읍취당기(挹翠堂記)」를 통해 바둑에서 포석을 하듯 누정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목차
누정에 대한, 에필로그
읍취당에 오르다
아름다워라, 한강이여
두 가지를 다 가질 수는 없는 인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