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의 명품 매화

이용수  32

영문명
발행기관
태학사
저자명
이종묵
간행물 정보
『문헌과 해석』통권 제49호, 13~2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학유(丁學游)의 <농가월령가> 3월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한식 전후 삼사일에 과목(果木)을 접하나니, 단행(丹杏) 인행(仁杏) 울릉도(桃)며문배 찜배 능금 사과 엇접 피접 도마접에 행자접이 잘 사나니 청다대 정릉매는 고사(古査)에 접을 붙여 농사를 필한 후에 분에 올려 들여 놓고천한(天寒) 백옥(白屋) 설한 중에 춘색을 홀로 보니 실용은 아니로되 산중의 취미로다.”라 하였다. 3월에 정릉의 매화가지 하나 꺾어 고목 등걸에접을 붙여 농삿일 마친 겨울, 눈 내리는 가운데 화분에 올려놓고 감상하 는 것이 비록 먹고 사는 것과 무관하지만 산중의 취미라 하였다. 여기서 나오는 정릉의 매화는 무엇인가? 정릉의 매화에 대한 역사는소정(邵亭) 김영작(金永爵, 1802~1868)의 <고매산관기(古梅山館記)>에자세하다. 이제 이 글을 따라 400년 정릉 매화의 역사를 따라가 보기로한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묵. (2009).조선의 명품 매화. 문헌과 해석, , 13-24

MLA

이종묵. "조선의 명품 매화." 문헌과 해석, .(2009): 1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