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Plank Exercise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Disability in Subjects With Mild Chronic Low Back Pain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정혜진(Hye-jin Jeong) 하수진(Su-jin Ha) 정예지(Ye-ji Jeong) 조우현(Woo-hyun Cho) 김준기(Jun-ki Kim) 원종임(Jong-im 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26권 제1호, 51~5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Chronic low back pain (CLBP) causes morphological changes in muscles, reduces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flexibility, negatively affects lumbar stability, and limits functional activity. Plank exercise strengthens core muscles, activates abdominal muscles, and improves intra-abdominal pressure to stabilize the trunk in patients with CLBP.
Object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lank exercise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LBP.
Methods: We classified 33 subjects into 2 groups: An experimental (n1=17) and a control group (n2=16).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lank exercise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stretching exercise. Patients in both groups attended 20-minute exercise sessions thrice a week for 4 weeks.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 each subject was evaluated ultrasonographically, and dis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esults: Four weeks later, abdominal muscle thicknes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ver baseline values in both groups (p<.05).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5). ODI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after intervention than before intervention (p<.05).
Conclusion: Plank exercise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reduces disability secondary to mild CLBP. Therefore, plank exercise is needed to improve lumbar stability and functional activity in patients with mild CLB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턱관절 장애 유무에 따른 깨물근의 두께와 턱관절 가동범위의 비대칭성 비교
- 뇌졸중 환자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능동적 머리목관절 가동범위 측정에 관한 측정자간 신뢰도 연구
- 보행기능에 맞춘 자가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근력 및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진동자극 환경에서의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균형능력 및 기능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
- 정면과 측면에 위치시킨 마이크로 소프트 키넥트 2로 측정한 보행 시공간 변인 정확성 비교
- Effect of Pelvic Compression Belt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Pelvic Rotation and Pelvic Tilt During Active Straight Leg Raise
- 플랭크 운동이 경한 만성 요통 대상자의 복부 근육 두께와 장애에 미치는 영향
- Iliotibial Band Stretching in the Modified Thomas Test Position Changes Hip Abduction Angle and Vastus Medialis Activity in Individuals With Tight Iliotibial Band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Ultrasound Measurement of Knee Joint Space Width in Individuals With Knee Osteoarthriti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