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Three Formulas for Intraocular Lens Power Formula Accurac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기웅(Ki Woong Lee) 김진수(Jinsoo Kim) 김동현(Dong 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1, 27~3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백내장수술환자에서 3가지 인공수정체 도수공식 간(SRK/T, Barrett Universal II, T2) 예측 정확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을 받은 73명 73안을 대상으로 인공수정체 도수 산출 공식(SRK/T, Barrett Universal II, T2)로 도수를 결정하였고, 수술 후 3개월째에는 구면 대응치와 각 공식의 예측치를 이용해 공식별 예측오차(수술 후 현성 굴절검사를 통해 계산된 구면대응치-수술 전 각 공식들의 목표 굴절력)와 절대오차(예측오차의 절대값)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안축장 길이(AL), 각막곡률(K)의 변화에 따른 수술 후 3개월째 각 공식에서의 예측오차의 변화를 탐색해 보았다.
결과: 백내장수술 후 3개월째에 평균 예측오차와 평균 절대오차는 SRK/T (각 -0.08 ± 0.45D, 0.35 ± 0.40D), Barrett Universal II (각 -0.01 ± 0.44D, 0.33 ± 0.30D), T2 (각 0.04 ± 0.45D, -0.34 ± 0.30D)으로 공식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AL≥26 mm나 K≥47D인 경우, Barrett Universal II 공식의 평균 예측오차가 다른 공식들에 비해 0에 가까웠고, 표준편차가 가장 작았다.
결론: 세 공식 간 인공수정체 도수 예측의 정확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안축장과 각막곡률이 평균 구간에서 벗어나는 경우 Barrett Universal II과 같은 최신 공식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accuracy of three intraocular lens (IOL) power calculation formulas (SRK/T, Barrett Universal II, and T2)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Methods: In total, 73 eyes of 73 patients who underwent uneventful cataract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OL power was determined using SRK/T, Barrett Universal II, and T2 preoperatively. Th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refractive outcome to obtain the prediction error. The mean prediction error (ME) and mean absolute error (MAE) of each formula were compared. The MAE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ce (SE) and the preoperatively predicted SE. The ME and MAE of each formula 3 months after surgery were compared with preoperatively predicted SE. Eyes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based on axial length (AL) and average keratometry (K).
Results: The ME and MAE for the three formulas were SRK/T [-0.08 ± 0.45 diopters (D) and 0.35 ± 0.40 D, respectively], Barrett Universal II (-0.01 ± 0.44 D and 0.33 ± 0.30 D, respectively), and T2 (0.04 ± 0.45 D and -0.34 ± 0.30 D, respectively),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groups with a long AL or a large average K. In groups with an AL ≥ 26 mm or with an average K ≥ 47 D, the Barrett Universal II formula yielded the smallest standard deviation and a ME closest to zero,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hree formulas regarding ME or MAE. However, recent formulas such as the Barrett Universal II could provide certain benefits in predicting IOL power for patients with a long AL (> 26 mm) or larger average K. Further research with a larger sample size is recommended for more evaluat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당뇨황반부종에서 유리체 내 주사제에 따른 치료 전후 고반사점 변화 비교
- 안축장에 따른 백내장수술 전후 전방 구조 및 렌즈 위치의 변화 비교
- 특발망막앞막에서 막제거술에 따른 시력 및 망막두께 변화 비교
- 플릭텐각결막염환자의 눈물간섭계를 이용한 임상양상 분석
- 한국인에서 익상편과 혈청 알칼리인산가수 분해효소와의 관계
- 근시견인황반병증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장기간 수술 결과
- 녹내장수술 후 안압하강에 따른 맥락막두께의 장기 변화
- 실리콘기름 충전 급성망막괴사 눈에서 Ganciclovir 주입 후 발생한 망막독성
- 성공적인 약시치료 후 약시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 분석
- 선천색각이상에서 나겔색각경과 파른워스-문셀100색상검사의 비교
- 양안 이측 시신경위축환자에서 황반부 망막신경절세포층 두께와 시기능과의 연관성
- 백내장수술 후 시력저하를 유발한 성상유리체증
- 리바운드안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야검사 전후 안압 차이
- 인공수정체 도수공식 정확성 비교: SRK/T, Barrett Universal II, T2
- 당뇨황반부종에서 베바시주맙 치료 반응도에 따른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효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