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chatbot by pre-service student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민덕기(Min, DeokGi)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5권 4호, 169~1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evaluated 9 AI chatbots developed by a class of 19 pre-service teacher student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ose chatbots work properly and pre-service student teachers’ attitudes to developing chatbot experience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evaluation are used: 1) asking questions specific to the entity, 2) evaluating whether prompts work properly, 3) evaluating whether or not the partial utterances were accepted depending on the work of prompts and finally, 4) performing the actual learning task. According to the analysis, 1) the chatbot had a 57.4% success rate in setting up the entity. 2) Prompt operation in relation to the entity showed a success rate of 50%. 3) Initiating prompts by part of speech was 57.4% successful. 4) Finally, six chatbots have succeeded in performing learning task. Second, 9 out of 10 items in the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domain show more than 3.0 and positive recognition. Six out of seven items in the learning strategy category have scored at least 3.5, indicating that the collaborative task had students actively communicate with peers and contribute to effectively completing the task. In addition, the average time spent for finishing the task was 34 hours or more, which is a surprising result considering that the total semester hours for the course work are 30 hours per semest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s the only beginning of a collective effort to implement AI in education. We are supposed to face the music and give it a tr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결과 분석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초등영어 대본쓰기 및 읽기연극에 관한 실행연구
- 초등영어 예비교사들의 AI 챗봇 개발 활동 연구
- 발견학습을 위한 인지언어학 기반 영어 어휘지도
- Value of Elementary Learner Corpus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 Case Study on Article Use
-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학습자를 위한 순서도 기반 의미협상 챗봇 개발 연구
- Speaking Activities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Textbooks
- 초등영어교과서를 활용한 영어말하기 학습용 챗봇 제작 방안
- 2015 개정 초등영어 교과서의 타교과 통합 내용 분석 및 적용 방안
- 2015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문화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사고기능 과업의 초등영어수업 적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