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홍수 피해 발생 감시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이용수 15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Data for Monitoring Flood Damag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정하(Lee, Jeongha) 황석환(Hwang, SeokHwa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7호, 77~8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들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홍수와 같은 수난(水難) 발생 시 사람들이 하나의 센서 역할을 함으로써 인구의 유동성을 포한한 데이터가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재난 발생 시 모니터링 방법으로 활용된 해외 사례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비정형데이터라는 이유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으로 생성된 비정형 데이터들을 홍수 발생시 모니터링 방법의 하나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NS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웹 크롤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강우 사상과 패턴을 비교 분석을 통해 홍수와 같은 재난 발생 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 활용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a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ave developed, various data have been produced. In particular, people serve as a sensor in the event of a flood, and data including the fluidity of the population are being produced. For this reason, there are several cases overseas of use of social network data as a monitoring method in the event of a disaster. However, Korea does not use such data because the data are unstructured dat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the unstructured data generated by SNS as a monitoring method for flood occurrence. To this end, we have developed a web crawler program that extracts SNS data and derived ways to utilize social network service data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loo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rainfall events and patterns.
목차
1. 서 론
2. SNS 크롤러 개발 개요
3. SNS 크롤러 홍수 사상 검증
4. 실시간 웹크롤러 기반 SNS 데이터와 홍수 발생 간의 패턴 분석 및 결과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 종관기상관측장비와 방재기상관측자료의 측정된 강우자료 차이로 인한 유출특성변화
- 재난안전예산 투자방향 수립을 위한 재난 및 안전사고 리스크-매트릭스 분석
- 도로 동상방지층의 온도계측 자료를 이용한 수치해석 연구
- 연안도시 지역의 방재성능목표 설정 및 개선방안 고찰
- 배전반 및 분전반의 화재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열응력 해석을 이용한 H형강 기둥의 하중비에 따른 한계온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재난약자시설의 피난안전성 향상을 위한 국내·외 방연구획 관련 기준 비교 연구
- 기초자치단체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비교·분석
- 지역특성을 고려한 강우 앙상블 멤버 생성 기법 제안
- 2차 압밀침하를 고려한 도시우수관망시스템의 유출특성분석
- 내진성능 미확보 학교시설의 보강 우선순위 결정 연구
- 아스팔트 도로 포트홀에 사용되는 인산염계 초속경성 긴급보수재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재료 실험연구
- 노후저수지의 재해위험 강우 및 붕괴유출량 산정
- 수정 SPI 지수(Modif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제시 및 과거 극한가뭄사례를 이용한 효용성 평가
- 복합포아송 모형 기반의 건물피해액 영향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과 인도주의 위기 그리고 적십자 운동
-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한반도의 미래 극한사상변화 전망
- Is Deep Better in Extreme Temperature Forecasting?
- Monte Carlo 모의 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간 추가-감축 용수 공급량 산정
- 경험적 홍수피해 자료에 근거한 노출위험인구 기반 인명손실 평가방법 개발
- 해안가 복합재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 적용
- 비보강 조적벽체의 쌓기방법에 따른 내진성능 비교
- 사망자가 발생한 공동주택 화재의 현황과 특성 연구
- 가뭄지수에 따른 가뭄평가 결과 비교연구
- 천장 발화 화재의 문제점과 대책 분석
- 특징선택기법을 이용한 가뭄영향인자 분석
- 영상기반 모션센싱을 이용한 실시간 동적 보행하중의 위치인식
- 원전 구조물 적용 마감재의 연소성능평가 기반연구
- 산불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산불 대응 의사결정 트리 강화의 중요성 고찰
- 한국의 지역별 산불 발생 원인 특성 분석
- 필댐의 비상방류시설 규모 적정성 평가기법 연구
- 지자체 저수지 가뭄 예·경보를 위한 저가형 AWS 구축 및 평가
- 태풍피해자료를 이용한 태풍위험지수 개발
- 반복삼축압축시험을 통한 40 mm 개립도 골재의 회복탄성계수와 영구변형
- 지하철 역사 대피시설 최적화 설계를 위한 BIM 모델링 및 VR 시뮬레이션
- 젠더 영향에 따른 홍수취약성 분석에 세부지표와 의사결정의 불확실성이 미치는 영향
- 인공위성영상과 지형자료를 동시에 활용한 침수지역 판별
- 재해영향평가 제도 운영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기상 및 화재 데이터기반의 화재발생 확률 예측
- SMC (Sheet Molding Compound) + FRP 복합소재 샌드위치 패널구조의 앵커지압판 개발 연구
- 전자부품 제조공장 방화구획내 방화댐퍼를 제외한 건축법의 소방학적 연구
- 반단선에 의한 누설전류 발생과 온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유도가열 기반 발열양생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
- 산불피해에 따른 산업 및 거시경제적 영향 분석
- 홍수 피해 발생 감시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가축질병재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반복 융해 수분 처리에 따른 다공성 아스팔트의 동탄성계수 변화
- 실제 물이용 체계를 고려한 한강 동해 권역 물수급 평가
- 아시아 국가의 경제지표 및 기초지표를 고려한 가뭄피해 예측 산정식 개발
- 실대형 실험을 통한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 거동 분석
- 재난안전데이터 코드 운영을 위한 시각화 정보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국내 산업전시장에 대한 재실인원 실측조사 및 재실자밀도 기준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침수피해지역 토지이용 특성과 방재대책 연구
- 다목적 최적화를 이용한 유역 관리 방안 탐색
- TBM터널 궤도하부 채움재와 궤도진동과의 상관관계 분석
- 구형 발열체에 의해 수직 상승하는 플룸에 대한 이론 및 수치해석적 연구
- 교량받침 연결부 단일 앵커의 매입 깊이에 따른 전단 저항성능 평가
- 표준점수법을 활용한 가뭄발생 추정식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