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강민주(Min Joo Kang) 신상진(Sang Jin Shin) 서재경(Jae Kyung Suh) 조송희(Songhee Cho) 최하진(Hajin Tchoe) 양장미(Jangmi Yang) 지동현(Donghyun J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8, 748~75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나이관련황반변성환자의 치료에 쓰이는 베바시주맙, 라니비주맙 및 애플리버셉트의 유리체내 주입술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메타분석을 통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최근의 고품질의 체계적인 검토(Canadian Agency for Drug Technology in Health 2016)를 선정하였고, 여기에서 확인된 13건의 임상 시험에 3건의 무작위 임상 시험을 추가하여 메타분석 및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유효성 결과 지표로는 1) 시력의 평균 향상, 2) 시력 개선을 경험한 환자의 비율, 3) 시력이 악화된 환자의 비율을 파악하였고, 안전성 결과에는 전신 이상 반응 및 안구 관련 이상 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 항혈관내피성장인자 간의 유효성 결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라니비주맙 대 베바시주맙의 평균 최대교정시력의 차이는 0.3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 1.95)이었고 15글자 이상의 시력 증가에서는 라니비주맙 대 애플리버셉트의 위험도(odds ratio, OR)는 1.02 (95% CI, 0.80, 1.30)였다. 또한 동맥 혈전 색전증의 발생을 제외하고는 안전성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라니비주맙 대 베바시주맙, OR, 2.15; 95% CI, 1.04, 4.41).
결론: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의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유효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안전성은 동맥 혈전 색전증 증상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intravitreal injections of bevacizumab, ranibizumab, and aflibercept for the treatment of new patient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Methods: We conducted an update of the most recent and high quality systematic reviews (Canadian Agency for Drug Technology in Health [CADTH] 2016). Three randomized clinical trials were added to 13 trials identified from the CADTH report. The efficacy outcomes were 1) average improvement in visual acuity, 2) proportion of patients who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vision (an increase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of ≥ 15 on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letters), and 3) proportion of patients who experienced worsening of vision (decrease in BCVA of ≥ 15 ETDRS letters). In addition, safety outcomes included systemic adverse events and ocular-related adverse events. To analyze the outcomes of 16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 conducted meta-analyses on the outcome measure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icacy outcomes among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drugs. The mean difference in BCVA between ranibizumab and bevacizumab was 0.3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 1.95), and the odds ratio (OR) for a vision gain in the BCVA of ≥ 15 ETDRS letters for the ranibizumab versus aflibercept treatment was 1.02 (95% CI: 0.80, 1.30).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outcomes, except in terms of arterial thromboembolic events (ranibizumab vs. bevacizumab; OR: 2.15; 95% CI: 1.04, 4.41).
Conclusions: The efficacy of anti-VEGF drugs for AMD pati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afety of the drugs was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in terms of arterial thromboembolic event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령관련황반변성환자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국내 사용 현황
- 각막혼탁이 있는 환자에서 스마일수술의 단기간 임상 성적
- 갑상선 이상과 건성안의 관계: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유효성과 안전성: 네트워크 메타분석
- 하직근 손실로 인한 70프리즘디옵터 상사시의 치료로 하사근절제술을 동반한 전치술
- 서부 경남 지역의 감염각막염환자의 임상양상 변화
- 성장하면서 원시 감소가 나타난 +4.00디옵터 이상 원시 환아의 특징
- 베스트병환자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
- 망막정맥폐쇄로 인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베바시주맙주입술 후 황반하 맥락막 두께의 변화
- 백내장수술 후 독성 전안부 증후군으로 인한 동공차단의 증례
- 한국인 연령관련황반변성환자의 사회적 비용 분석
- 방사상각막신경염의 임상양상을 보인 에로모나스 각막염
- Shewanella Putrefaciens에 의한 감염각막염
- 구후마취 후 발생한 푸르처유사망막병증 2예
- 얼굴돌림 및 사시를 동반한 영아안진에서 Adjusted Kestenbaum 술식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