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endency of Research about Educational Law in Japan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고전(Jeon Ko)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24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일본에서의 교육법 연구동향을 일본교육법학회의 결성과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그 특징 및 최근의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교육법학회의 학회지인 일본교육법학회연보에 게재된 정기총회 주제, 1980년대의 강좌교육법 시리즈와 2000년대의 현대교육법 시리즈, 그리고 대표 학자 및 주요 저술을 분석하였다. 일본의 교육법이론은 교육법이론의 기초적 논의 시기(1960년 중반~1970년), 교육재판의 전개와 교육법학의 발전기(1970년대), 국민교육권론에 대한 비판기(1980년대), 어린이 인권론·참가론·자치론의 전개(1990년대), 교육개혁과 교육기본법의 논의(2000년대)로 이어져 왔다. 일본 교육법 연구의 특징은 입법, 재판, 행정에 걸친 사회 현실의 시정(是正)과 방향제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동시에 교육법에 대한 본업(本業)적 연구 환경 조성과 교육학과 법학간의 학문적 연대 및 연구방법론의 심화, 국제교류 활성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bout Educational Law in Japan through the analysis of Japan Education Law Association and it`s products. The primary analysis target was the ``EDUCATION LAW REVIEW``(No.1~40), EDUCATION LAW LECTURE SERIES(1980s,2000s), and the representative scholar`s books(Kaneko Masasi`s ``Education Law``[new ed.] etc.) Japan Educational Law Association was established as a member of professors, teachers, lawyers,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parents in 1970. The Association offered the theoretical basis in the education trial. They emphasized citizen`s right to education instead of Nation`s right, and embodied the concept of the right to education as a children`s right to learn. According to the Basic Act on Education(§16), Education shall not be subject to improper control and shall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is and other acts; education administration shall be carried out in a fair and proper manner through appropriate role sharing an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cademic debate has been center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is provision. At the chapter Ⅱ, this article analyzed the academic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Law in Japan through the subject and method and achievements of research. At the chapter Ⅲ, this article discussed the tendency of the Japan Educational Law Association. The chapter Ⅳ contained the developing process of education law theory. The history of the research about Educational Law can be divided into the four period of preliminary discussions(1960s), the movement of educational litigation and developing of Educational Law(1970s), children`s human right and participation and school`s autonomy(1990s), educational reform and the Basic Act on Education(2000s). As a conclusion, It is a most characteristic tendency to take part in the resolution of educational issues. and there is some tasks of inter or multi-disciplinary approach of Education and Law, and academic international exchange.
목차
Ⅰ. 서론
Ⅱ. 교육법학의 학문적 특성에 관한 일본에서의 논의
Ⅲ. 일본교육법학회의 연구 동향
Ⅳ. 교육법 이론의 전개와 전망
Ⅴ.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