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감시성과 광고 소구 메시지유형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1)
이용수 380
- 영문명
- Effects of Self-monitoring and Message Appeal Types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남아영(Nam, Ahyoung) 이유리(Lee, Yoo Ri)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7권 제3호, 43~5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 소구 메시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는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 구매의도보다 높을 것이고, 자기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보다 높을 것이라는 예측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자기감시성: 높은 자기감시성 vs 낮은 자기감시성) X 2(광고 소구 메시지 유형: 속성 소구 메시지 vs 혜택 소구 메시지) 요인설계방안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설득지식과 제품태 도,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 보다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이는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가 객관적인 속성을 제시하는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는 속성을 근거로 자신이 추론하여 결론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더 높은 구매의도를 가지게 되며, 자신이 추론하는 것이 아닌 광고주가 제시하는 심리적 가치가 반영된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는 설득지식이 활성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자기 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가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보다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 message appeal type according to consumers self - monitoring. Specifically, consumers who have low self - monitoring will have high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attribute appeal advertising than benefit appeal, and consumers with high self – monitoring will have high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benefit appeal advertising. This study adopted a 2x2 Factorial ANOVA Design (high self - monitoring vs low self - monitoring x attribute vs benefit appeal) to prove the hypotheses suggested by the previous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ith low self - monitoring showed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 and high purchase intention in attribute appeal advertising than benefit appeal.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reason why consumers with low self-monitoring have a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 and a high purchase intention because they can draw conclusions based on their own attributes, and that persuasion is activated in a benefit claim advertisement that reflects the psychological value of the advertiser rather than their reasoning. In contrast, consumers with high self - monitoring showed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s and high purchase intention on benefit appeal advertising compared to attribute appeal.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보제시유형에 의한 개인투자자들의 주식투자의도
- 전보행재활로봇 디자인의 지각된 사용편의성 평가요인 탐색
- 이용자의 사전지식이 휠체어 탑승 가능 고속/시외버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공학, 디자인전공 대학생과 여중생의 협업에 의한 공익 IoT 시설물및 제품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금연캠페인을 중심으로 *
- 자기감시성과 광고 소구 메시지유형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1)
-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의 이용의사에 대한 이용 동기의 영향과 서비스 유형의 조절 효과
- How Do Emotionally Attached Consumers Evaluate Co-branded Products(NPB Alliance)?: A Comparison between Brand Attitude and Brand Attachment *
- 의료 소비자의 동기가 병원 선택 요인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HP를 사용한 남성용 화장품 사용성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사용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이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누가 모순어법을 사용한 광고 카피를 선호할까?
- 기업 맞춤형 경영학 교육을 위한 ERP교육 프레임웍 개발
- 해양스포츠이벤트 체험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진정성 메시지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제품 지식과 제품유형의 조절 역할
-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통일대비 미술교육 방안 연구
- 옴니채널은 고객과 기업 간 관계품질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인가?: 고객이 지각하는 관계품질이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2호 목차
- 도시방범 CCTV 최적 설치를 위한 휴리스틱 접근 - 범죄 예방과 대응력의 극대화
- 신흥국 외환시장의 공통 변동성과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