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차량 방화의 흔적 식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Research on Discrimination of Mark in Vehicle Arson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문병선(Moon Byung-Sun) 조영진(Cho Young-Jin)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19 No.1, 59~6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날로 증가하는 차량 화재 중의 방화에 대하여 재현 실험을 통해 화재 조사에서 방화와 차량 자체의 결함에 기인한 일반화재와의 변별 기준을 확보하고자 방화의 수단별, 조건별 재현 실험을 행하여 화재 조사 자에게 차량 화재에서 방화의 흔적 검사에 대한 검사 기준을 제시하고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차량화재의 연소 조건 중에서 풍향이 지배적인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았다. 정확한 발화지점 규명을 위해 흔적 검사의 대상에 포함되는 차량 구조물들을 확인하였다. 방화수단으로 사용한 것들의 검사 기준이 되는 흔적 검사 방법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were little available data of vehicular incendiary fires. We investigated fires by inflammable gasoline and papers. cloths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vehicles. Fires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vehicles were carried out under the several conditions by incendiary methods and vehicle's windows. We knew that dominant factor of combustion is direction of wind at that time in vehicle's fire. And we knew that the other mark of combustion pattern in vehicle's fire could be a clue for solving the problem in discerning the place to which we sotted fire between the general fire and ars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복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22.9 kV 수전설비 시스템에 설치된 계기용변성기의 소손원인 판정에 관한 연구
- 한국·일본·미국의 화재발생실태에 대한 비교분석(3)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 스프링클러와 배연설비의 통합작동이 수평통로의 연기제어에 미치는 영향
- 다기능형 화재감지기 베이스에 관한 연구
- 화재폭발손실지수법을 이용한 BTX 공장의 위험선별
- 도로터널내부 화재시의 열전달 및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안전성평가에 관한 수치적 연구
- 차량 방화의 흔적 식별에 관한 연구
- 고령화사회를 대비한 소방방재정책에 관한 연구
- 지하역사에서 화재발생시 자연풍 및 강제배연의 유무에 따른 열 및 연기거동 특성 연구
- 난연도료를 도장한 바탕재의 화재 위험성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