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재판정이 대법원에 의해 취소된 사례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arbitration awards canceled by Korean Supreme Court
- 발행기관
- 한국중재학회
- 저자명
- 신한동
- 간행물 정보
- 『중재연구』 제21권 제1호, 33~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orea Supreme Court has cancelled four cases of thirty-nine Arbitral awards made by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since Korea arbitration act was enacted in 1966.
Three cases of them were cancelled by the reason of the arbitrator’s disqualification in relation to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and the other to arbitration agreement enable to select the lawsuit or arbitration. When a person is approached in connection with his possible appointment as an arbitrator or has already been appointed as such, he shall without delay disclose all circumstances likely to give rise to justifiable doubts as to his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according to the one of the article 13 of Korean Arbitration Act. Upon being notified of the appointment as an arbitrator, each arbitrator shall immediately disclose in writing to the Secretariat any circumstances which might cause reasonable doubt about impartiality or independence.
An arbitration agreement shall be made clearly and in writing not to appeal to the court or to be brought in the court. However most of the korean construction contracts have the arbitration agreement clause enable to appeal to the court or the arbitration on government official’s advice. Many of these disputes are resolved by litigation after the precedent(Law case number : 2003da318) set by the Supreme Court on August 22, 2003 between the Korea(government) and the Korea Railroad or abandoned its attempt to arbitration. But each year, about four hundreds of arbitration business transactions were resolved arbitration, the voluntary submission of a dispute to an impartial person or persons for final and binding determination. Arbitration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way to resolve these disputes privately, promptly, and economically.
목차
Ⅰ. 서론
Ⅱ. 대법원에 의해 중재판정이 취소된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북상사중재 제도 활성화를 위한 남북협력방안 -북한의 대외경제중재법(1980) 평가를 중심으로
- 한ㆍ중ㆍ미 중재인의 선정 및 기피에 관한 비교연구
- ADR에 의한 건설분쟁해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국방조달 계약에서의 분쟁해결 조항에 관한 연구
- 일본에서 특허의 유효성에 대한 중재가능성 -킬비 판결(일본 특허법 제104조의3)을 중심으로
- 중국 광저우(廣州)중재위원회의 온라인중재 운용에 관한 연구
- 국제분쟁해결센터(ICDR)의 ‘긴급구제’제도(‘emergency relief’ system)에 관한 연구
- 국제상사중재에서 UNIDROIT원칙의 적용사례 분석
- 중재판정이 대법원에 의해 취소된 사례연구
- ADR을 활용한 스포츠사건의 해결에 관한 고찰 -중재제도를 중심으로
- 소비자중재합의의 효력에 관한 미국 법원의 태도와 함의
- 징벌적 손해배상의 중재적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무역학분야 NEW
-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인식이 인스타그램 팔로워 반응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Export Diversification: Analyzing Export Product and Partner Variety Extensive Margins
- 수출입기업의 환위험 관리를 위한 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