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nforcement of Foreign-related and Foreign Arbitral Awards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중재학회
 - 저자명
 - 차경자
 - 간행물 정보
 - 『중재연구』 제15권 제2호, 263~2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China, as far as the enforcement of the award is concerned, a three-pronged regime exists : each for domestic, foreign-related and foreign awards. As opposed to domestic awards, foreign-related awards are defined as those involving  foreign-element.  Among them, this article focuses on the enforcement regimes of foreign-related and foreign arbitral award, and strives to provide a practical outlook of the arbitral award enforcement regime in China.
 For that, this article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study are mentioned; In Chapter Ⅱ, the types, the statutory framework, the related measures, the statistical assessment on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s are addressed. Chapter Ⅲ points out some issues on the enforcement regimes of foreign-related and foreign arbitral awards, with focus paid to the recognition of foreign-related arbitral awards, the substantive judicial review of foreign-related arbitral awards, and the refusal of enforcement with the social and public interest ground. Chapter Ⅵ introduces two non-enforcement cases of foreign-related and foreign arbitral awards. Lastly in chapter Ⅴ, the author makes a proposal to improve the enforcement regime in China.
 Although China already obtained a certain level of achievement, she still need to be undertaken by the government and judicial authorities to offset the negative effects of some obstacles to hamper the enforcement such as protectionism so that she may create a more favorable arbitration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중재판정 강제집행제도 개관
	                       
	                          Ⅲ. 중국의 섭외 및 외국중재판정 강제집행의 문제점
	                       
	                          Ⅳ. 중국의 섭외 및 외국중재판정의 강제집행 거부 사례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경분쟁파 중재제도
 - 중국 중재판정부의 신용장 관련 중재 판정에 대한 연구 - Inco. v. China XX (가칭) 사건의 중국국제경제무역중재위원회, 상해위원회 중재판정을 중심으로
 - 해상보험 클레임의 면책위험에 관한 고찰
 - 중국의 섭외 및 외국중재판정 강제집행제도 연구
 - 국제중재에 있어서 중재합의의 준거법 결정에 관한 연구
 - 국제상거래 분쟁해결을 위한 온라인 ADR 모델 구축방안
 - 칭따오 진출 한국기업을 위한 중재절차 통일화에 관한 연구
 - 국제상사중재에서의 중재합의에 관한 법적 문제점 -대법원 2004. 12. 10. 선고 2004다20180 판결이 제기한 뉴욕협약상의 쟁점들을 중심으로
 - 상사분쟁 해결촉진을 위한 한-중 중재기관간 협력의 과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