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Encounter Numbers on Perceived Crowding,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ates in Therapeutic Forest Area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저자명
- 김상미(Sang Mi Kim) 김상오(Sang Oh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제18권 제2호, 111~12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Visitors to therapeutic forests for health are rapidly increasing.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conducted to find out how such increasing number of visitors influence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s.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encounter numbers on perceived crowding (PC), visitor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ates. Thirty-two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conducted during April, 2014. Two sets of simulated photographs were used as stimuli: 12 for high and 12 for low encounter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1) encounter level influenced PC and psychological states. PC was higher when encounter level was higher. Subjects’ psychological states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PER, Profile of mood states: POMS, Emotional states: ES) were also related with encounter level. ES and POMS increased and PER decreased as encounter level increased. Cortisol level, however, was not related with encounter level. (2) Correlat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PC and all psychological indicators (i.e., ES, POMS, PER) besides level of cortisol were correlated each other.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tests imply the necessity of managing encounter level to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s of forest. More studies on the unexpected findings for the physiological response (i.e., cortisol level) are require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유의 숲에서 조우 수가 혼잡지각 및 심리적ㆍ생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 노숙인 자활증진 커뮤니티가든 프로그램을 위한 국내 노숙인의 특성 및 현황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재배중심 원예치료가 감정표현불능증 정도에 따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변화와 자존감 및 기분에 미치는 영향
- 조경 시공과정에서의 사용자 관심 및 요구 분석
- 업무공간에서 모듈화 된 실내조경이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관중속 3종의 메탄올 추출물 및 참지네고사리 분획물의 α-glucosidase 억제 활성
- 공원녹지의 배치특성과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 산림치유 이용자의 자연연관성, 감정, 각성상태가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향기요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숲 이미지 산책이 여자소년원 원생들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및 장애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BEST
- 우리나라 국가위기경보체계의 개선방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수용태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신도시 상업시설 실태조사를 통해 상가공실률 상승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설명가능 인공지능 기반 Flexural Rigidity Matrix를 이용한 교량상 의사정적 차량 하중 추정
- MOLUSCE 모델에 의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과 SCS-CN 산정
- 캠핑장 안전사고 현황 및 예방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강원 영동지역 캠핑장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