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pair and Reinforcement Quantity Take-off in Fire-damaged Area Using 3D Laser Scanning
- 발행기관
- 한국BIM학회
- 저자명
- 정희재(Jeong, Hoi-Jae) 함남혁(Ham, Nam-Hyuk) 이병도(Lee, Byoung-Do) 박광민(Park, Kwang-Min) 김재준(Kim, Jae-Jun)
- 간행물 정보
- 『KIBIM Magazine』9권 1호, 11~2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건축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in fire incidents in building structures. Due to this, the importance of fire-damaged buildings’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after fire is growing. However, the existing fire-damaged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methods are personnel-oriented, so the diagnostic results are intervened by investigators’ subjectivity and unquantified. Thus, improper repair and reinforcement can result in secondary damage accidents and economic loss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using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The case analysis of fire-damaged building structure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ccuracy and manpowering by comparing the existing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The proposed method using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to obtain point cloud data of fire-damaged field. The point cloud data and BIM model is combined to inspect the fire-damaged area and depth. From inspection, quantified repair and reinforcement quantity take-off can be acquired. Also, the proposed method saves half of the manpowering within same time perio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Therefore, it seems that using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in fire-damaged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will improve in accuracy and saving time and manpowering.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3D Laser Scanning을 활용한 화재 손상부위 물량 산출 프로세스
4. Case Study
5. 향후 연구 진행 방향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공간의 경험설계
- 2019년 BIM 솔루션 동향
- 건설 산업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 3D Laser Scanning을 활용한 화재 손상 부위의 보수·보강 물량 산출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 딥러닝 기반 교량 손상추정을 위한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를 이용한 가속도 데이터 생성 모델
- 머신러닝을 통한 건축 도시 데이터 분석의 기초적 연구 - 딥러닝을 이용한 유동인구 모델 구축 -
- 디지털 트윈 기반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
- 철도 선형을 고려한 알고리즘 기반의 철도 터널 BIM 설계 방안
- Resiliency Assessment of Sarasota Bay Watershed, Florida
- 건설 분야의 IT 기술 생태계 지도 그리기 – PDF 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건축공학분야 BEST
- ChatGPT를 활용한 BIM 데이터 평가 기준 실시간 변경 대응 시스템 개발 연구
- BIM기반 설계데이터 평가 시스템 개선을 위한 ChatGPT활용 방법론
- 생성형 AI 기반 초기설계단계 외관디자인 시각화 접근방안
공학 > 건축공학분야 NEW
- KIBIM Magazine 15권 2호 목차
- 이미지 깊이 추정 기반 Point cloud 및 BIM 모델을 활용한 건축물 피난 및 소방 방해 적치물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제안
- 건축물 사후관리를 위한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표면균열 시뮬레이션 및 측정 알고리즘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