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turn Current of the Transition Theory in East Asia - The Recent Study of “Theory of TangSong Transition” in China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박근칠(Park, Geunchil)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일본역사연구 제38집,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theory of “the period of transition in Tang and Song Dynasties” has been discussed about a century in Japan. Naito Konan presented the Theory of Tang-Song Transition in Chinese history in the early 20th century. Naito addressed that the Song dynasty was the beginning of modern China. In the past century, scholars in Japan and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ave been analyzing and expounding it from different angles. Yet the Chinese academic world of history has not faced up the theory so far. For a long time, the theory of “long-term standstill” in the studies of Chinese ancient history misled people to think that the 2000 years of ancient China was on the same stage of development without any substantial changes and that they had not seen great changes until the period of Tang and Song dynasties. Recently, the Theory of Tang-Song Transition is fiercely debated in field of historical study in the Chinese academic world. Since the policy of the reform and opening, the study of “the period of transition” has made great progress and tried to find a clue for the beginning of early modern period in Chinese history. Therefore many Chinese scholars are concerned that great changes took place at the turn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목차
Ⅰ. 머리말 : 唐宋間 變化相에 대한 관심의 부상
Ⅱ. 日本史學界의 ‘唐宋變革期’ 논쟁과 반향
Ⅲ. 中國史學界의 唐宋史에 대한 재인식
Ⅳ. 맺음말에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나카노 도시오(中野敏男), ≪시가와 전쟁: 기타하라와 민중, 총력전으로의 ‘길’ (詩歌と戦争―白秋と民衆、総力戦への「道」 ≫
- 明治維新の前提条件における 「主権」と 「国民」
- Jun Uchida, Brokers of Empire: Japanese Settler Colonialism in Korea, 1876-1945,
- ‘전기 왜구’와 ‘후기 왜구’ 용어의 모순과 새 용어의 선택
- 變革論의 동아시아적 환류
- 전후 일본의 각성하는 ‘모성’과 평화
- 범주와 정치
- 근대 일본 육군의 ‘獨斷專行’ 개념의 형성(1871~1909)
- 1696년 오키(隱岐)에 도항한 조선인들의 송환과정 검토
- 이케우치 사토시(池内敏), ≪다케시마문제란 무엇인가?(竹島問題は何か)≫
- 일본역사연구 제38집 목차
- 學會消息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충무공 이순신 정신의 현대적 함의
- 이순신에 대한 기억의 전승과 재구성 : 조선후기 ~ 일제강점기 이순신 현창사업의 추이와 특징을 중심으로
- 사극과 영화 속의 이순신 재현 -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과 영화 ‘명량’·‘한산’·‘노량’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