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로소득자와 사업소득자의 납세의식에 관한 차이분석 :
이용수 179
- 영문명
- An Difference Analysis on the Tax Consciousness of the Employe and Self-Employed : The Case Study of Daejeon, Sejong, Chung Cheong Area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정호영(Jung, Ho Yeong) 정두영(Jeong, Du Young)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글로벌경영학회지 제15권 제5호, 67~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요인분석에서 추출한 납세 윤리성과 납세자 정직성을 성실납세 내적 동기로, 납세 순응도와 납세 보상성, 조세 공평성을 성실납세 외적 동기로 구성하여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으로 근로소득자와 사업소득자 및 성별에 따른 납세의식 차이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실납세 내적 동기를 구성하는 납세 윤리성과 납세자 정직성에서 주효과(근로자·사업자, 성별)와 상호작용효과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실납세 외적 동기를 구성하는 납세 순응도에서 근로자·사업자 간 납세의식 차이가 유의수준 10% 내에서 제한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납세 보상성은 성별에 따른 납세의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세 공평성에서는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실납세 내적동기와 성실납세 외적동기에 대한 분석에서 두 요인 모두 주효과와 성실납세 내적동기의 상호작용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성실납세외적동기에서는 근로자·사업자 집단과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유의수준 10% 내에서 제한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납세의식을 개선하는 조세정책의 수립이나 납세환경개선 활동에 적절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taxpayers consciousness between employees and the self-employed in Daejeon, Sejong, Chung cheong area. the tax consciousness is divided into the internal motivation of tax consciousness and external motivation of tax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difference of tax consciousness showed that both the main effects(employees·the self-employed, gender) and interaction effects of tax ethics and taxpayers hones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difference in tax consciousness between employees and the self-employed in tax compliance was found to be of limit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in the 10 percent level, and the difference in tax consciousness by gender in tax compens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ax fairness, the effects of interac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analysis for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for tax consciousness,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mployees·the self-employed by gender was found to be of limit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in 10% of the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appropriat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the tax policy to improve the tax consciousness in the future and improving the taxation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의 재무적 제약이 공격적 세무보고에 미치는 영향 :
-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ommercial Firms in Ecuador
- GARCH류와 DCC-GARCH 모형을 이용한 VIX와 S&P500의 Leverage 효과 및 비대칭적 변동성 Spillover Effect
-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 회계 직종 근로자의 주요 직무환경 요인과 직무만족․조직몰입의 영향 관계 분석
- 근로소득자와 사업소득자의 납세의식에 관한 차이분석 :
-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Consumers’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Shopping
- 지자체의 BSC평가가 최종달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유구조가 R&D에 미치는 영향 :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