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age Analysis of Micro Lesions According to Grid Frequency After Removal of Moire Artifact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이상호(Lee Sang-Ho) 김규형(Gyoo-Hyung Kim) 양오남(Oh-Nam Ya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1권 제5호, 463~46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rphological information such as shape and margin of micro lesion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diagnosis of disease in clinical imag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micro lesions by comparing the contrast and area in grid suppressed DR images according to grid frequency. In the profile analysis of the image, the mass showed an average intensity variation of 8.6 ~ 72.4 after suppression, The higher the grid frequency, the more the contrast was increased. However, in the images obtained using 103 lp / inch, which is a grid frequency less than the sampling frequency, the contrast of the mass in the vertical direction decreased after suppression. In the binary image, the area change of the mass was also large. As a result, the shape, size, and margin of the mass changed. In the case of very small calcification, the higher the grid frequency is the larger the change in contrast, so that a clear image can be obtained in the post-suppression image. However, we could confirm that the margin of the lesion was blurred and the lesion was lost in some of the images using the 103 lp / inch gri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he grid, The change of the contrast of fiber occurred largely and clear boundary was confirmed.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pixels was small and morphological change was small. In conclusion, when using a grid frequency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sample frequency, morphological changes or lesion loss of micro lesions in the post- suppression image may give the possibility of misdiagnosis in diagnosis and differentiation of the imag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동형 X선 발생장치의 2차 방사선 차폐를 위한 선속조절기 개발 연구
- 방사선기술과학 제41권 제5호 목차
- 컴퓨터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수술 후 편측 성대마비의 진단보고
- 치과용 이동형 방사선장치의 선량평가
- 3차원 프린터 응용을 위한 CT/MRI-영상 기반 GUI소프트웨어 개발
- Dual-energy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장비 제공선량과 측정선량 비교
- Bed-type과 Stand-type 상용 전신계수기(Whole Body Counter)의 성능 비교
- 수도권 지역의 초음파 프로브의 미생물 오염도와 소독에 관한 연구
- 자기공명영상검사 시 폐쇄공포증 완화를 위한 굴절안경의 유용성 평가
- 흰쥐 난자형성 세포의 알리인 방어효과
- Moire artifact 제거 후 그리드 주파수에 따른 미세병변의 영상분석
- 방사선 재학생 전공교과목 학습에서 인터넷 활용 실태
- 늑골 방사선검사 시 X선관 초점-영상수신체간 거리에 따른 환자선량과 화질의 연관성 평가
- 인공 무릎관절에서 자화율 인공물의 감소를 위한 O-MAR XD 기법의 평가
- 간접평판형 검출기에서 국제전자기술위원회 기준을 통한 잡음전력스펙트럼 비교 연구
- 의료기관의 방사선사 중 방사선 관계종사자와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이원화 체계에 따른 인식도 조사
- KS C IEC60601-1-3: 의료용 전기기기-제1-3부: 기본 안전 및 필수 성능에 관한 일반 요구사항-보조표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