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2P 유형의 협력적 소비 제공의도
이용수 226
- 영문명
- A Study on Providing Intention of P2P Collaborative Consumption: Focused on Consumption Values, Attitude, Perceived Risk, Trust and Expected Benefits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박명숙(Park, Myung Sook) 최경숙(Choi, Kyoung Sook)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21권 제3호, 69~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2P 유형의 협력적 소비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소비가치, 태도, 인지된 위험, 신뢰, 기대 혜택)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여 그 함의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2P 유형의 협력적 소비 제공의도는 중간값 보다 다소 높은 것(M=3.27, SD=0.70)으로 나타나 제공하는 것에 대해 소비자들이 긍정적 의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성별, 연령, 협력적 소비 경험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P2P 유형의 협력적 소비 제공의도와 소비가치, 태도, 인지된 위험, 신뢰, 기대 혜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지된 위험을 제외한 변수들과 정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P2P 유형의 협력적 소비 제공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태도, 기대 혜택 중 감정적 혜택, 협력적 소비에 대한 제공 및 이용 경험 모두 있음, 소비가치 중 자기표현지향 가치, 혁신지향 가치, 신뢰, 협력적 소비에 대한 제공 경험만 있음, 성별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2%로 나타났다. 특히 태도 변수가 투입된 3단계에서 모형 설명력이 39%이고, R2 값이 20%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태도는 P2P 유형의 협력적 소비 제공의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consumption values, attitude, perceived risk, trust and expected benefits) on the providing intention of P2P collaborative consumption(CC). The study subjects were 422 adult consumers who answ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providing intention of P2P CC ranged 3.27(0.70), which was relatively high. The providing intention of P2P CC in demographic variabl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the CC experience. Second, consumption values(except low-price oriented value), attitude, trust and expected benefits had positive(+) influence the providing intention of P2P CC. Third,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order of influence: attitude, emotional benefit, the CC experience
of providing and using, self-expression oriented value, innovation oriented value, trust, the CC experience of only providing and gender; this model had a power of explanation of 42%. In steps 3, R2 was dramatically increased by 20% as input attitude variable. This result revealed that attitude variable is important factor of the providing intention of P2P CC.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xamining the College Students’ Perceived Fast Food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 상담서비스 품질에 대한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차이 비교
- 인터넷전문은행 미가입자의 수용 의도 결정 요인
- 고객상담센터 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소비자불만행동 및 소비자악성행동에 대한 인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P2P 유형의 협력적 소비 제공의도
- 왜 물질주의가 소비자의 충동구매를 높이는가?
- 배달앱 관련 변수와 긍정적 기대불일치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의 긍정평가에 영향을 주는 노스탤지어 효과와 유도 요인 연구
- 목표지향행동 모델을 적용한 왕훙 관련 제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