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논쟁 문제 양상 분석

이용수  579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Aspects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Appear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High School (Provid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박가나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72집, 31~6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논쟁 문제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고, 관련된 자료와 학습에 대한 안내는 어떤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선, 고등학교 통합사회 5개 교과서에 제시된 논쟁 문제는 총 84개였다. 교과서별로 볼 때 12개에서 27개까지 논쟁 문제가 제시되어 있어 교과서별 차이가 나타났고, 단원별로도 5개에서 22개까지 제시된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주제에 따라서는 5종의 교과서가 대부분 다루고 있는 대표적 논쟁 문제들이 나타났다. 개발과 보전 사이의 갈등, 정의로운 분배기준, 자유주의대 공동체주의 논쟁, 문화상대주의와 보편윤리 논쟁 등은 제시된 구체적 사례도 유사한 것들이 많아 교과서별 차이가 별로 없는 주제들이었다. 다음으로, 자료 제시 정도의 경우, 문제의 배경이나 개념 확인은 잘 제시된 반면, 사실문제와 가치문제는 상대적으로 제시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았고, 학습의 단계 역시 충분히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교실에서 논쟁 문제를 보다 적극적이고 통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als with the detailed contents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are presented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high school (provid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observes how guidance is given regarding related material and learning. Firs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84 controversial issues presented in the 5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high schools. Each textbook presented 12 to 27 controversial issues, showing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an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issues presented by unit, ranging from 5 to 25 issues. Regarding topics, there were some representative controversial issues dealt with in most of the 5 different kinds of textbooks.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just distribution bases, arguments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and arguments between cultural relativism and universal ethics were topics that showed little contrast among the textbooks as they also shared similar detailed cases. Next, in the case of data presentation, while the backgrounds of issues or concept identifications were well presented, there was a relatively insufficient amount of information presented on questions of fact and value problems and learning stages were also insufficiently presented. This shows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give thought and argument to how controversial issues can be dealt with in a more active and integrated manner in the classroom.

목차

I. 문제제기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대상 및 방법
IV.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논쟁 문제 양상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가나. (2018).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논쟁 문제 양상 분석. 교육연구, 72 , 31-62

MLA

박가나.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논쟁 문제 양상 분석." 교육연구, 72.(2018): 3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