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Using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Simultaneously exercise on Balance Ability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치료과학회
- 저자명
- 김동준(Kim Dong-Jun) 안창식(An Chang-Sik)
- 간행물 정보
- 『대한치료과학회지』Vol. 10, No. 1, 15~2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imultaneous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exercise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 The participants, which included a total of 26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the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group (n=12) and the control group (n=12). Discharged patients were excluded (n=2). The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group engaged in a combination of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exercises for 30 minutes a day, 5 days per week for 6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treat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foot pressure ratio and total pressu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and body sway also decreased (p<.05). In addition, the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Berg Balance Scale (BBS) and a decrease on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imultaneous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exercise may be used to improve balance, meaning this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hronic stroke pati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치료과학회지 Vol. 10, No. 1 목차
- 지역사회 치매노인을 위한 보조공학
- 허리보호대 착용에 따른 하지와 허리의 근 활성도 및 각도 비교에 관한 연구
- 어깨 골반 동시 사용 패턴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자세균형, 척추안정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요부안정화탄력밴드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이 체간기능과 요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timulating KI-8 (交信穴) Using Spiral Taping on the Menstrual Pain of Women in Their Twenties
- 환자 이동 작업 시 보조도구를 사용하여 옮기는 동작과 들어서 옮기는 동작의 역학적 분석
- 3D 동작관찰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거울신경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