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입학전형이 대학 신입생의 사교육 경험 및 인식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469

영문명
The Effects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on Freshme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ivate Tutor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남창우(Nam, Chang-Woo) 박서현(Park, Seo-Hyun) 길혜지(Kil, Hyej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2호, 21~4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7.15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4년제 A대학교의 신입생 1,151명을 대상으로 사교육의 참여 실태를 알아보고 입학전형 유형과 사교육이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입학전형 유형이 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경험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A대학교 2016학년도 신입생 1,316명을 대상으로 간 사교육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를 2016년도 11월 1개월 동안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실시하였고, 대학입학 전형에 따라 사교육 경험 및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주된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은 주로 학원 및 개인과외 등의 사교육을 경험했으며, 월 평균 비용과 이용 시간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은 입학전형과 상관없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다른 전형 요소에 비하여 사교육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A대학교의 입학전형 요소 중 사교육 유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전형 요소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시전형의 경우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수시전형의 경우에는 학생부 교과영역 확대가 공교육 내실화에 가장 적당한 전형요소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을 경감하고 고교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생부종합전형 관련 교육정책 및 제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of 1,151 freshmen students in university A, Busan metropolitan city in 2016 by conducting survey in November, 2016, and the effects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on private educa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χ2-test, ANOVA, and Scheffè post-hoc test with the SPSS 24.0 program depending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of freshman stud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experienced private education such a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and private tutoring, and there were wide ranges of average monthly expense, average usage hours and frequency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them. Second, they perceived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their university admission positively, Especially, there were strong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rather than other university admission types. Lastly,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duced private education mostly among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university A. Also, for reinforcing public educational system, they perceived th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the case of regular admission, and the parts of subject matters was considered more than other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the case of early admiss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decreasing private education fees by exploring how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duce privat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창우(Nam, Chang-Woo),박서현(Park, Seo-Hyun),길혜지(Kil, Hyeji). (2018).대학입학전형이 대학 신입생의 사교육 경험 및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2), 21-47

MLA

남창우(Nam, Chang-Woo),박서현(Park, Seo-Hyun),길혜지(Kil, Hyeji). "대학입학전형이 대학 신입생의 사교육 경험 및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2018): 2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