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척추전후방향촬영시 이온전리조 위치조합에 따른 임상노출지수, 신호 대 잡음비, 대조도 대 잡음비 결과값 비교
이용수 64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clinical EXI, SNR, and CNR according to the Ion Chamber position combination when whole spine AP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최용락(Yong-Rak Choi) 김정욱(Jeong-Wook Kim) 최상규(Sang-Kyu Choi) 김영식(Yeong-Sik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8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31~3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전척추전후방촬영(Whole Spine AP)를 3-Spot 촬영시 각 Spot의 이온전리조 위치조합을 다르게 설정하여 획득한 영상들의 임상노출지수(Clinical EXI), 신호대잡음비(SNR), (CNR)값을 측정 비교분석하여 임상 노출지수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최적의 진단 영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Rando Phantom을 이용해 전척추전후 방촬영을 3-Spot 촬영하였다. X선원과 검출기 간의 거리(SID)는 180 cm, 촬영범위는 비근점부터 대퇴경부, 각 Spot당 관전압 90kV, 노출당 선량 3.57μGy, 테이블과 피사체 간의 거리(TOD)는 10cm로 고정하였으며 자동 노출 제어장치(AEC)모드에서 이온전리조를 중앙 1개, 중앙을 제외한 좌우측 2개, 중앙과 좌우측 3개, 총 3가지 위치조합을 3-Spot에 각각 다르게 적용하여 총 27가지 조합으로 영상수신기에 표기되는 임상노출지수를 획득하였고 Image J 프로그램을 사용해 동일한 관심영역(ROI)를 설정하여 신호 대 잡음비, 대조도 대 잡음비를 획득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노출당 선량 3.57μGy에 적정 임상노출지수를 357을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이온전리조 위치조합은 첫 번째 Spot에서 중앙 1개, 두 번째 Spot에서 중앙, 좌우 측 3개, 세 번째 Spot에서 중앙을 제외한 좌우측 2개로 나타났다. 첫 번째 Spot에서 중앙 1개, 두 번째 Spot에서 중앙 1개, 세 번째 Spot에서 중앙, 좌측, 우측 3개의 이온전리조 위치조합일 때 신호 대 잡음비, 대조도 대 잡음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 론:전척추전후방촬영는 3-Spot 촬영 시 획득한 영상의 임상노출지수, 신호 대 잡음비, 대조도 대 잡음비 값들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있었다. 영상화질평가 목적으로 임상노출지수 값을 참고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SNR (Signal to Noise Ratio), CNR (Contrast signal to Noise Ratio), and Clinical EXI (Exposure Index) of the images obtained by sett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Ion chamber positions for each spot during 3-spot imaging of Whole Spine AP. Clinical EXI was compared with other clinical data and confirm the usefulness and confirm the optimal diagnosis image.
Materials and Methods:Using the Rando Phantom, We take 3-spot Whole Spine AP. SID (Source to Image-Receptor Distance) is 180 cm, TOD (Table to Object Distance) is 10 cm, range is from nasion to femur neck, tube voltage is 90 kV per spot, dose is 3.57 μGy per exposure. In the 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 mode, Ion chamber is located at the center, left and right sides except the center, at the center and left and right sides. Clinical EXI value of the image receiver was obtained by total of 27 kinds of combination and the same ROI (region of interest) was set using the Image J program, and SNR, CNR were obtained and compared.
Result:The closest Ion chamber position combination based on the appropriate Clinical EXI 357 based on the dose of 3.57 μGy per exposure was the center of one spot in the first spot, The center, left and right in the second spot, In the third Spot, there were two left and right sides except the center. SNR and CNR were the highest at the center of one spot in the first spot, the center of one spot in the second spot and the center, left and right in the third spot.
Conclusion:The Whole Spine AP was different when comparing clinical EXI, SNR, and CNR values of 3-spot image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limit to reference Clinical EXI value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image quality.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Ⅵ.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 에너지 엑스선 골밀도 장치의 교차 분석에 관한 연구
- 방사선사의 임금 적정성 및 직업 만족도 조사
- 증감지와 광센서를 이용한 방사선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자체제작
- 이중에너지 엑스선 골밀도 계측기(DXA)를 이용한 골밀도 검사에서 조영제 투여 검사에 따른 오류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Guideline) 설정
- 3D 프린터를 이용한 Hand lateral 검사의 보조기구 제작에 관한 연구
- 고관절 수술 후 측방향 검사 시 서혜부 측방향 검사의 유용성 평가
- 발목관절 촬영 시 정확한 촬영 자세를 위한 보조기구 제작에 관한 연구
- Portable Chest AP 검사 시 X-ray Tube 각도와 거리에 따른 LUNGMAN Phantom 영상 왜곡률에 관한 연구
- EOS Imaging System을 이용한 전체 척추 검사 시 Low Dose 와 Micro Dose Protocol의 비교 유용성에 관한; Phantom연구
- 골다공증 진단에 있어서의 장비별 T-Score에 대한 비교 고찰
- 비뇨기과 수술 중 C-arm 검사 시 갑상선 차폐체의 유용성
- DR System에서 Foot Phantom을 이용한 상반법칙불궤현상 연구
- HIP TRANS LATERAL검사시 Femur neck의 적정한 입사각도와 검사방법의 표준화를 통한 재현성있는 영상 구현에 대한 연구
- 방사성 동위원소( 99m Tc)가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골밀도 검사에 미치는 영향
- 전척추전후방향촬영시 이온전리조 위치조합에 따른 임상노출지수, 신호 대 잡음비, 대조도 대 잡음비 결과값 비교
- Wall Detector를 활용한 Carpal tunnel View 검사법에 대한 연구
- Entire spine검사 시 Added filter종류에 따른 선량 및 화질평가에 대한 연구
- X선 촬영 시 조건변화에 따른 측방 산란선에 관한 연구
- 흉부 X-Ray 검사시 Low Dose Image Protocol 사용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 경북 일부지역 초·중학생의 골연령과 관련요인과의 상관관계
- 일반 Chest AP 영상검사에서 영유아 방사선 검사 보조기구의 활용
- Digital Tomosynthesis를 이용한 Chest PA 촬영 시 Cu Filter 조건에 따른 선량과 영상 품질 간의 차이
- Rib Cage View검사 시 촬영조건 변화에 따른 적정선량 및 영상 평가
- 소아 일반촬영 검사 시 보호자 참여의사와방사선에 대한 인식도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