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linical Outcomes of Early Silicone Tube Displacement in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요셉(Joseph Kim) 강성모(Sung Mo K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5, 1~4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한 선천코눈물관막힘 환아에서 실리콘관 조기 이탈이 수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선천코눈물관막힘으로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한 환아 27명(4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리콘관은 3개월 유지 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유지 기간의 2/3 기간 이내에 이탈된 경우를 조기 이탈로 정의하였다. 수술 성공 여부는 최소 1년간의 추적 관찰기간 동안 지속적인 눈물흘림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Fischer s exact test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실리콘관 조기 이탈이 있는 환자군과 조기 이탈이 없는 환자군의 수술 성공률을 평가하였다. 수술 방법에 있어서는 코내시경을 통한 단계적 탐침술과 실리콘관삽 입술을 동시에 시행하여 이전 연구들과는 차이를 두었다.
결과: 실리콘관삽입술의 전체적인 성공률은 95% (38안/40안)였으며, 실리콘관 조기 이탈은 수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0.154). 조기 이탈은 40% (16안)에서 발생하였으며, 술 후 7일 이내가 12% (2안), 8-14일 이내가 44% (7안), 15-30일 이내가 19% (3안), 31일 이상이 25% (4안)였다.
결론: 선천코눈물관막힘에서 실리콘관 조기 이탈은 수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조기 이탈이 흔한 영유아에서 내시경적 단계적 탐침술과 실리콘관삽입술을 병행하는 것은 기능적으로 보다 높은 치료 성공률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8;59(5):393-396>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surgical results of early silicone tube displacement in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Methods: A total of 40 eyes from 27 children who received silicone tube intubation with sequential probing under intranasal endoscopic guidance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silicone tube was intended to be removed after 3 months, and was defined as early displacement if the tube was removed within 2/3 of the planned tube retention time. Success was defined as the absence of persistent epiphora for at least a 1-year follow-up period. Using Fisher s exact test, the success rate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early tube displacement was compared for a statistical difference.
Results: Overall, 95% (38/40) of eyes were treated successfully; they were not affected by early tube displacement (p = 0.154).
Early displacement occurred in 40% (16/40) of eyes: 12% (2) within 7 days, 44% (7) within 8–14 days, 19% (3) within 15–30 days, and 25% (4) after 31 days.
Conclusions: In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early silicone tube displacement did not affect the clinical outcome of silicone tube intubation. Therefore, endoscopic-guided silicone tube intubation with sequential probing may provide a high functional success rate although early tube displacement occurs in young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5):393-396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 도입 초기의 단기 임상경과 및고식적 백내장수술과의 비교
- 녹내장에서 브리모니딘/티몰롤 복합제제와 0.15% 브리모니딘 사용 시 알레르기 발생률의 비교
- 소아에서의 굴절이상 정도와 안축장 및 각막굴절력의 상관관계 분석
- 굴절부등 환자에서 시간에 따른 구면대응치 차이의 변화
-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의한 황반하출혈에서 유리체강내 애플리버셉트 단독요법의 임상적 효과
- 긴장 및 조절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에서의 사시 수술 후 결과
- 난치 각막상피질환 환자에서 5% 혈청알부민 점안액의 효과: 임상증례 및 문헌고찰
- 안와 주위에 발생한 유아 모세혈관종의 프로프라놀롤을 사용한 치료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으로 진단된 90세 이상 초고령 환자의 특성
- 다층 속말림 내경계막 절편술을 이용한 크기가 큰 황반원공의 치료
- 라식수술에서 발생한 유리절편을 절편회전술로 치료한 1예
- 선천코눈물관막힘 환아에서 실리콘관 조기 이탈의 임상 결과
- 당일 라식, 라섹 수술과 기존 수술법의 수술 후 결과 비교
- 열소작술을 이용한 흰쥐 외안근 섬유화 모델
- 복막결핵 환자에서 발생한 합병증을 유발한 홍채낭종의 자발적 회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한국사학사학보 제51권 목차
- 이승휴의 ‘看藏寺記’에 대한 사료 해석과 그 사학사적 의의
- 독일인의 피난과 추방(Flucht und Vertreibung der Deutschen)에 관한 독일 학계의 연구 동향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