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lationship philosophy’ by Buber and Levinas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노상우(Ro Sang woo) 권희숙(Kwon Hee sook)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5권 제2호, 47~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Buber와 Levinas의 철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철학에 대한 공통점을 논의한 뒤, 이것에 내포된 교육적 시사점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Buber와 Levinas는 모두 너(타자)에 대한 응답을 통해 나(주체)를 구현해간다는 관계성의 존재론적 성격과 윤리학적 성격을 새롭게 고찰하고 있다. Buber와 Levinas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교육적 인간상은 인격적, 윤리적 인간성의 회복이다. Buber는 ‘나중심’의 이기적인 ‘나-그것’의 세계는 ‘결의’, ‘전환’에 의해 인격적인 ‘나-너’의 관계의 세계에 들어설 수 있다고 말하며 이를 위한 나(주체)의 ‘끊임없이 되풀이 되는 결의’를 강조하고 있다. Levinas 역시 자신의 철학이 타자와의 관계를 통한 ‘주체성의 변호’라고 주장하면서 타자를 응대하는 책임의 주체만이 진정한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교육적 인간상은 ‘나-너의 관계’에(Buber), ‘주체-타자의 관계’에(Levinas) 토대를 두고 있다. ‘나-너의 관계’는 ‘나’의 전환‘을 이끌어내는 주체의 결의에 의해 성립가능하고, 주체-타자의 관계는 타자를 환대하는 주체의 책임에 의해 성립가능하다. 여기서 교육학적 과제는 어떻게 인격적-윤리적 자아형성이 가능한 결의와 책임을 촉진할 수 있느냐 이다.
이 연구는 이상과 같은 점들을 논의하면서 주체중심의 교육철학을 관계철학을 통해서 재해석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analyze the Buber s philosoph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You’ and ‘I-It’, secondly, to know what the characteristics on alterity of ‘the other’ by Levinas are, and the third, to research wha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philosophy are in the educational fields. Both Buber and Levinas have brought the phenomenological insight in our educational fields, the universal theory as a relationship philosophy to realize ‘I (subject)’ through ‘You(the other)’ approaching in the existential and ethical areas. Educational human type from them is to restore the respectful and ethical personality to survive as a responsible subject. Buber emphasizes ‘the ceaselessly repeating resolution’ entering a relationship of ‘I-You’ through ‘resolution’ and ‘change’. Levinas also asserts his philosophy as ‘the defense for subject’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only ‘the subject’ who are responsible for ‘the other’ can be called a true ethical subject. The birth of this ethical subject requires the ethical change as well as ethical recognition. That is, a major variable in the successful relationship of ‘I-You’ is in the subject s resolution caused by ‘subject’s chan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the other depends on the responsibility of subject showing hospitality to ‘the other’. The pedagogic tasks lies on how the resolution and responsibility making personal ethical subject possible can be increased. This study tries to reinterprete ‘Subjectivity - centered’ pedagogical paradigm based on relationship philosophy with all described above.
목차
Ⅰ. 서 론
Ⅱ. ‘관계’의 존재론적-윤리학적 성격
Ⅲ. 교육적 시사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