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밀양지역 납석광상 화산암질 모암에서의 원소들의 지구화학적 분산
이용수 0
- 영문명
- Geochemical dispersion of elements in volcanic wallrocks of pyrophyllite deposits in Milyang area, Kyeongnam province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오대균(Dae Gyun Oh) 전효택(Hyo Taek Chon)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26권 3호, 337~34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some pyrophyllite deposits in Milyang area, Kyeongnam Province (Milyang and Sungjin mine)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dispersion patterns of chemical elements in altered volcanic wallrocks, and to interpret genetic environments of the pyrophyllite deposits. Cretaceous andesitic and tuffaceous rocks, and pyrophyllite or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dumps and drilling cores. Andesitic wallrocks were grouped as unaltered and altered rocks in the order of pyrophyllitization. Vertical dispersion patterns and relative mobilities of chemical elements in volcanic wallrocks were discussed.
Geochemical environment in the Milyang area is characterized by the occurrence of boron minerals such as dumortierite coexisting with pyrophyllite ores, and tourmaline in granitic rocks. Unaltered andesitic rocks are mainly composed of plagioclase, pyroxene and hornblende, and were propylitized and saussuritized. Altered andesitic rocks are bleached and consist of quartz, sericite, pyrophyllite, kaolinite, chlorite and disseminated pyrite. Pyrophyllite ores are mainly composed of quartz, pyrophyllite, dumortierite, dissemianted pyrite and some diaspore. Enrichment of SiO₂, Al₂O₃, LOI (loss on ignition), As and Cr, and depletion of K₂O, Na₂O, CaO, MgO and total Fe are characteristic during alteration process. The REE patterns show that the pyrophyllite deposits could be originated from the continental margin volcanics. The (La/Lu)cn ratios of the pyrophyllite ores increase from 4.2~23.2 to 2.67~128.8 owing to strong acidic hydrothermal alteration.
Vertical dispersion patterns of Al₂O₃, K₂O, Na₂O, CaO, MgO, Fe₂O₃ (total Fe), As, Au, Sb, Cr and Sr in the wallrocks show the location of orebodies. Particularly dispersion patterns of Al₂O₃ and Cr indicate the extension of orebodies. Anomalous distribution of Au, As and Sb in wallrocks shows potential for gold occurrence below the pyrophyllite deposits. Judging from the relative mobilities of elements in wallrocks, Al₂O₃ could be added from hydrothermal solution, and the silicified zone be formed from the excess of SiO₂.
목차
ABSTRACT
서론
지질 및 광상 개요
시료의 채취, 분류, 광물조성 및 화학분석
안산암질암 및 납석광석의 지구화학적 특성
심도에 따른 원소들의 분산양상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agma differentiation and mineral accumulation of the Sangnae-ri dolerite sill in the Okchon belt
- Phase equilibria of the system Pd-Sb-Te and its geological implications
- Mode of occurrence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stannite from the Yeonhwa 1 mine
- H/F variation in wolframites according to depth and temperature of mineralization at Ssangjeon, Weolag, Cheongyang and Sannae mines, Korea
- 경북ㆍ의성 동남부 오토산 주변의 동광화작용
- 옥천대 북동부에 분포하는 하부 고생대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 염화제이철 수용액에서 섬아연광의 용해에 관한 속도론적 연구
- A study on the heat genera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of crustal rocks
- 慶尙盆地 北東部, 盈海ㆍ盈德一帶의 花崗岩質岩의 黑雲母와 角閃石의 進化經路
- 밀양지역 납석광상 화산암질 모암에서의 원소들의 지구화학적 분산
- 밀양 납석광상의 모암변질작용과 생성환경
- 백운산 향사대에 분포하는 동고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 울산철광산 지역의 사문암의 사문석화 작용에 관한 연구
- 의성지역 백악기 암석에 대한 고자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