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al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oal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박홍수(Hong Soo Park) 박석환(Suk Whan Park)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22권 2호, 141~15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9.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make economic and geological evaluation of coal in Korea, proximate and ultimate analyses were carried out as well as coal petrological studies such as maceral analyses, vitrinite reflectance and sporinite fluorescence measurement. The coeffcient of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of both conventional utilization and coal petrological parameters were studied as in Table 5 and 6. Their conclusions were as follow: (1) for anthracite, the good parameters of coal rank are mean vitrinite reflectance, carbon content, hydrogen content and H/C atomic ratio: (2) for brown coal and sub-bituminous coal, the good parameters of coal rank are carbon content, calorific value, moisture content, hydrogen content, oxygen content and O/C atomic ratio as well as vitrinite reflectance and sporinite fluorescence. An attempt is made to infer the coalforming environment by utilization of coal petrological analyses and to make comparison of coal analyses with proximate and ultimate analyses throughout the island arc region including Japan, Philippine and Indonesia and continental region including USA, Canada and Australia. As a result, meceral composition of Paleozoic and Mesozoic anthracite are similar to that of the Paleozoic continental coals, which were formed under dry conditions or low water table, but the coalification degree suddenly increased during Daebo orogeny (middle Jurassic to lower Cretaceous). The Tertiary coal resembles those of Tertiary island arc region coal characterized by higher calorific value, volatile matter content and H/C atomic ratio and by the formation of coal under wet conditions or higher water table.
목차
Abstract
서론
시료
시료작성 및 분석, 측정방법
결과 및 고찰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