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가 측정 설문을 통해 평가된 한국 의과대학생들의 알코올 효과에 대한 반응 수준
이용수 64
- 영문명
- Korean Version of the Level of Response to Alcohol Measured on the Self-Rating of the Effects of Alcohol Questionnaire in Korean Medica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중독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용희(Yonghee Park) 이보람(Boram Lee) 김시경(Sie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중독정신의학』Vol.22, No.1, 19~2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29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 Low level of response (LR) to alcohol is a risk factor for alcohol-use disorder (AUD). Self-Rating of Effects (SRE) scores are robust predictors of the quantity and frequency of alcohol use, alcohol-related problems, and the development of alcohol dependence. This pilot study is the first to attempt to develop and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SRE. Methods : Fifty Korean medical students (22 females and 28 males) aged 18+ years were recruited. The Korean SRE was established and validated.
The SRE questionnaire comprises four possible effects and three different timeframes. Demographics, first-time alcohol-use history, Korean version of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KR) and gender differences were also studied. Results : The Korean SRE was in accord with earlier reports, the overall SRE scores correlated with the three individual time points and internally consistent. Fifty-five percent of the study subjects scored ≥4.5 (69% male vs 31% females), suggestive of low LR to alcohol and thus at risk of developing AUD. Males are more at risk. For 60% and 68% met cut-off for AUDIT-KR scores of ≥10 for males and ≥5 for females respectively. SRE correlated with AUDIT scores. Conclusion : The Korean SRE is valid and matched other reports. It can be implemented in large-scale nation-wide studies throughout Korea.
목차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성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에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간기능, 음주 빈도, 그리고 갈망 사이의 관련성
- 자가 측정 설문을 통해 평가된 한국 의과대학생들의 알코올 효과에 대한 반응 수준
-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에서 자기상에 대한 양가감정의 특성
- 건강보험진료비청구자료를 사용한 국내 임신 중 음주 환자의 유병률과 특성
- 한국인 알코올사용장애 임상경과 및 생물정신사회적 요인 규명을 위한 임상 및지역기관 전향적 연구 : ( I ) CRF 개발과정 및 단면적 조사결과
- 청소년에서 DSM-5에서 제안된 인터넷게임중독 진단기준과 정신과의사의 임상적 면담에 의해 평가된 인터넷게임중독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