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etrochemical and structural study on the Charyong batholith and its associated metallic deposits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Ok Joon Kim(金玉準)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10권 3호, 107~11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77.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haryong batholith extends northeasterly from the west coast to the west of Wonju in the central parts of Korean Penninsula. The batholith is separated by the metamorphic complex into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granites. and is believed to intrude during the Daebo orogeny of early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age. It constitutes a sort of anticlinorium and the metamorphic complex can be regarded as a huge roof pendant.
The mod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haryong batholith belongs to a series of adamellite-granodiorte-to-nalite. The oxidation property happened during a magmatic segregation reveals that the batholith shows in general orogenic assimilation trend. The granites of early to middle Jurassic age show orogenic assimilation trend, whereas those of late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age post orogenic noassimilation trend.
The fracture system of the whole region is two folds : the fractures having attitute of N25~40˚E and 70˚SE are regarded as tension fractures, and those of NS, and 50E to vertical and N50˚E and 80˚E to vertical as shear fractures.
All these facts suggest definitely that the Charyong batholith is the syntectonic intrusives during the Daebo orogeny.
The mineral deposits in the area studied are gold-silver deposits in majority which was named by O,J.Kim(1970) as the Chonan metallogenic province. They are sulfides baring quartz veins which were emplaced along the tension and shear fractures originated by the Daebo orogeny.
목차
Abstract
1. 序言
2. 地質
3. 岩石學的 및 岩石化學的 고찰
4. 地質構造
5. 車嶺底盤 주변에 分布하는 鑛床
6.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